팔꿈치 통증 ‘상과염’ 주의보

한국뉴스


 

팔꿈치 통증 ‘상과염’ 주의보

시사뉴스 0 2368 0 0

상과염이란 팔꿈치 상완골의 내상과, 외상과에 발생하는 염증이나 이는 잘못된 용어이며, 염증성 질환이 아닌 퇴행성 건병증이다. 상과염은 크게 ‘테니스 엘보’라고 불리는 외측 상과염과 ‘골퍼 엘보’라고 불리는 내측 상과염으로 분류된다. 외측 상과염은 손목을 들어올리는 신전건 중 특히 단요측수근신근이 외상과 기시부에서 만성적인 퇴행성 건병증이 생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며, 내측 상과염은 손목을 굽히는 굴곡건 중 요측수근굴근과 원회내근의 내상과 기시부에서 발생하는 만성 퇴행성 건병증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상과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5년 70만5000명에서 2019년 81만4000명으로 10만8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5년 33만1000명에서 2019년 40만6000명으로 22.5%(7만5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37만4000명에서 2019년 40만8000명으로 9.0%(3만4000명) 증가했다. 


힘줄 손상


2019년 기준 상과염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81만4000명) 중 50대가 36.5%(29만7000명)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7.0%(22만명), 60대가 19.8%(16만1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 33%, 40대 27.6%, 60대 2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40.0%로 가장 높았고, 40대 및 60대가 각각 26.4%, 19.6%를 차지했다.

김성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상과염은 직업적으로 팔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다. 세계적인 통계를 보면 40대 이후, 특히 40~60대의 여성에서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대가 직업적으로 아직 활발히 활동을 하는 시기이지만, 힘줄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해 무리한 활동 시 힘줄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에 비해 치유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만성 퇴행성 건병증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어 “또 연령의 증가에 따른 전반적인 근력의 약화와 여성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근 손실이 빠르다는 것도 상과염이 발생하기 쉬운 요인이 된다. 최근 중년에서 골프와 같은 위험요인이 되는 스포츠 인구가 증가한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 당 상과염 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1583명으로 2015년 1397명 대비 13.3%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5년 1306명에서 2019년 1574명으로 20.5%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1489명에서 2019년 1593명으로 7.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남성의 증가율이 훨씬 높았다.


인구 10만명 당 상과염 질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에서 여성 3814명, 남성 3112명으로 가장 높아 정점을 이루고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김 교수는 상과염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시 문제에 대해 “통계적으로 90%의 환자에서 1년 이내에 자연 치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절한 휴식과 통증을 유발하는 활동을 제한하며, 적절한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을 포함한 물리치료를 시행할 경우 가장 빠른 치유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의 경우 약물에 의한 일정 기간 통증의 완화 이후 증상은 다시 심해져서 장기적으로 경과 관찰만 시행한 경우보다 결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돼있다. 소수의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에 실패해 1년 이상 지속되는 통증과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특히 측부 인대의 손상이 동반돼 관절의 불안정성이 동반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찌릿’ 환자 매년 증가…5년간 15%↑
한해 80여만명…50대가 가장 많아


질병명에 나와 있듯이 테니스나 골프, 공 던지기 등의 스포츠에서 과도한, 반복적인 손목의 사용으로 힘줄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힘이 지속적으로 가해졌을 경우 힘줄의 부착부에서 미세 손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미세 손상이 누적되면서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되며 건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단순히 스포츠뿐만 아니라 손을 많이 사용하는 육체 노동자, 빨래, 청소, 요리와 같은 가사 노동, 타이핑 등과 같이 직업적인 또는 일상적인 활동에서도 반복적으로 손을 사용하는 경우 흔히 발생하게 된다. 


이환된 건에 힘이 가해지도록 손을 사용했을 경우 통증이 심해지며 휴식 시에 통증이 완화되는 임상 양상을 보인다. 대부분 환자에서 처음에 미약한 통증이 생기며 병이 진행될수록 통증이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지만 갑작스러운 외상으로 인해 급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심한 경우 휴식 시에도 지속적인 통증이 발생하며 수면장애를 일으키기도 하고 아침에 일어났을 때 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보통 외관상으로는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지만 병이 진행되며 상과 부위의 뼈가 돌출되어 보이거나 주위에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상과염의 예방과 치료 모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트레칭과 적절한 근력 운동이다. 특히 상과염을 유발할 수 있는 손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이나 활동을 하기 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게 되면 힘줄의 인장력이 늘어가게 돼 운동 중 상과염의 원인이 되는 힘줄의 미세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스트레칭은 팔꿈치를 편 상태에서 손목을 굴곡시키며 신전건을 늘려주거나 손목을 신전시켜 굴곡건을 늘려주는 방법이 도움된다. 전완근의 근력 운동 또한 예방과 치료에서 매우 중요하다. 


어려운 치료


손의 무리한 사용에도 전완근의 근력이 충분하다면 상과의 건부착부에 발생하는 손상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상과염을 일으킬 수 있는 운동이나 직업을 가진 경우 평상시 전완근의 근력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 예방할 수 있다. 


상과염은 유병율이 상당히 높은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치료 방법이 없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상과염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초기에는 적절한 휴식과 통증 조절을 위한 진통 소염제의 복용, 파스나 젤과 같은 국소 진통제의 사용도 도움이 된다. 


자료제공 : 국민건강보험공단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