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콰이아 몰락, 그 후…

한국뉴스


 

에스콰이아 몰락, 그 후…

일요시사 0 2007 0 0

아버지 망해도 아들은 ‘떵떵’

[일요시사 경제1팀] 한종해 기자 = 국내 대표 제화업체 에스콰이아가 무너졌다. 인수·합병 시장에 매물로 나온 것. 수년간 매출 감소세로 자금난을 겪고 워크아웃에 돌입하면서 반백년을 자랑하는 제화업계의 신화가 완전히 역사 속에 남게 됐다. 토종 브랜드로 한때 제화시장을 싹쓸이했던 에스콰이아가 어쩌다 이런 처지가 된 걸까.

에스콰이아의 전신은 고 이인표 창업주가 1961년 서울 명동에 차린 10평 남짓의 작은 구둣방이다. 이 창업주는 22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성상공실업학교를 졸업하고 마흔이 넘어 제화사업을 시작했다.

'귀하'라는 뜻을 지난 에스콰이아를 사명으로 하고 최고급 수제화 생산에 매달린 이 창업주는 66년 국내 최초로 수제화 자동화 공정을 도입, 시대를 앞서는 디자인과 철저한 품질관리로 80년대 국내 제화시장 1등 업체로 자리매김했다.

영욕의 54년

81년 영에이지, 88년 미스미스터 등 브랜드를 설립하고 9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패션사업에 진출, 구두뿐만아니라 핸드백, 가방, 잡화류, 의류 등을 생산·판매하는 종합패션전문기업으로 거듭났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 창업주의 경영철학이다. '기업이윤은 반드시 사회에 돌려줘야 한다'는 경영이념에 따라 누구보다 앞장서서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실천했다. 81년 이 창업주가 사재를 털어 공익재단 에스콰이아문화재단을 설립, 한국사회과학도서관과 인표어린이도서관 등을 운영한 게 대표적이다.

에스콰이아는 IMF 외환위기도 잘 넘겼다. 1999년 1045억원을 기록한 매출은 2000년 2180억원, 2001년 2254억원, 2002년 2376억원으로 상승했다.

에스콰이아의 성장세가 주춤한 것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부터다. 특히 이 창업주가 2000년 장남 이범 전 회장에게 대권을 물려주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나 2002년 노환으로 별세한 뒤 에스콰이아의 날개 잃은 추락이 시작됐다.

2003년 감소세로 돌아선 매출은 2008년 1209억원으로 곤두박질쳤다. 2002년 1600여명에 달하던 직원도 2009년 800여명으로 줄어들었다. 에스콰이아의 시작은 9명의 직원과 3명의 판매원이었다. 2009년 6월에는 50년 역사를 자랑하는 에스콰이아 명동 본점 간판을 내렸다. 에스콰이어는 본점 4층 건물을 일본계 신발유통업체 ABC마트에 매각했다. 당시 에스콰이아 관계자는 "매각 조건과 이유를 밝힐 수 없지만 회사 역사의 산물인 명동점을 눈물을 머금고 팔 수밖에 없었다. 달리 대안이 없었다"며 회사의 다급한 사정을 알린 바 있다.

같은 해 이 전 회장은 사모펀드 H&Q 아시아퍼시픽코리아에 800억 안팎에 회사를 넘겼다. 반세기 만에 새 주인을 맞은 에스콰이아는 사명을 지금의 이에프씨(EFC)로 바꾸고 지난해 역삼동으로 본사를 이전했다. EFC는 2011년까지 매출액 2000억원을 넘기면서 다시 살아나는 듯했다. 그러나 2012년 들어 다시 매출액은 급감했고 백화점, 할인점, 아울렛 등 모든 유형의 패션 유통 채널에서 EFC 매장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새 주인 맞았지만 재기 실패…결국 매각
회사넘긴 2세 공익재단 이사장으로 활동

결국 EFC는 지난해 3월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을 신청하고 경영정상화에 힘썼다. 그러나 채권단과 최종합의에 실패, 8월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2013년 EFC의 매출은 1563억원, 영업손실 62억원이다. 같은 기간 부채총액은 1178억원에 달한다.

에스콰이아 몰락 배경에는 경영주의 경기판단 착오에 따른 무리한 투자가 있다. 에스콰이아는 IMF가 거의 마무리됐다고 판단한 2003년부터 국내 경제가 다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 모든 사업 부문에 대한 투자를 늘렸지만 곧바로 '카드 대란'이 터지면서 몰락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특히 판매 촉진을 위해 30∼40%씩 구두상품권을 할인해 판매한 것이 패인의 결정타였다. 상품권 남발은 품질 저하로 이어지면서 에스콰이아의 '명품' 이미지를 순식간에 날려버렸다. 한때 에스콰이아 상품권 발행은 매출 60%선까지 육박했고 시중에는 최대 반값에 상품권이 거래되기도 했다.

2005년에는 상품권 판매를 일반상품 판매로 위장해 신용카드 영수증을 조작하는 방법으로 거액을 탈세했다는 내부 직원들의 폭로에 국체청과 공정거래위원회 등의 조사를 받는 곤욕도 치렀다.

아버지가 일생을 바치며 쌓아올린 회사를 무너뜨린 이 전 회장은 어디서 뭘 하면서 살고 있을까.

회사 매각 이후 행적을 감췄던 이 전 회장의 소식이 들린 것은 국회도서관으로부터다. 지난해 3월 국회도서관과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이 자료공동활용과 지식공유운동 확산 상호협력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는데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이사장으로 이 전 회장이 등장한 것.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은 이 창업주가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설립한 공익재단으로 사회과학 정보서비스 전문기관이다. 이 전 회장은 에스콰이아 매각 이후인 지난 2012년 1월 제8대 이사장에 취임했다. 이 전 회장은 서울의 부촌으로 유명한 한남동 유엔빌리지의 한 고급 주택 1개 호실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토종 브랜드 몰락

에스콰이아는 공개입찰 방식으로 기업을 매각하기로 결정, 매각 공고를 낸 상태다. 매각주관사는 딜로이트안진이 선정됐다. 에스콰이아 측은 "일괄매각방식이 원칙이지만 투자자의 제안에 따라 사업부별 매각방식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인수의향서 제출기한은 오는 1월23일이다.

<han1028@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