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단체의 이상한 시상식

한국뉴스

장애인단체의 이상한 시상식

일요시사 0 1045 0 0

 

장애인 행사에 장애인이 들러리?

 

[일요시사=사회팀] '제10회 전국장애인과 함께하는 문예글짓기 대회 시상식'과 '제7회 자랑스러운 한국장애인상 시상식'이 지난 10월25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하지만 장애인이 주가 되어야 할 이 시상식에서 장애인은 들러리에 불과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뇌병변 1급과 언어장애 1급 등 지체장애 1급 장애를 앓고 있는 차강석(45)씨는 '운명에 거역하라!'라는 글로 (사)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대표 최봉실)에서 주최한 '제10회 문예글짓기 대회'에서 국회외교통일위원장상(대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며칠 동안 밤낮을 가리지 않고 발가락 마우스로 한자 한자 눌러가면서 써낸 결과물이었다.

상금은 '0원'

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은 지난 2002년 설립, 장애인들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역량을 강화시켜 사회 참여의 기회를 증진하며 회원 상호간의 교류와 연대를 도모하고 나아가 시민 봉사 정신으로 국가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차씨는 장애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송통신대학교와 경희 사이버대학교 미디어 문예창작과 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대학에 입학한 2001년부터 글을 쓰기 시작해 '위기 극복 희망 에세이 공모전' '정보화교육 우수사례 공모전' '건강한 인터넷 생활 수기 공모전' '국민카드 사이버 문학상' 등 수많은 문학 관련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그의 활동보조인에 따르면 차씨는 사이버 수필집을 낼 예정이며 글 쓰기 능력이 상당하다. 이런 차씨가 지난 18일 <일요시사>와 만나 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이 해산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사건은 지난 10월25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차씨는 문예글짓기 대회 주최 측인 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으로부터 1시30분까지 시상식 참석 요청을 받았다. 차씨는 불편한 몸을 이끌고 그의 활동보조인과 함께 1시께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19층을 찾았다.

어렵게 대상 받으러 갔다가
정치성 이벤트만 보고 귀가
며칠 뒤 상장만 착불 택배로

하지만 입구에는 문예글짓기 대회 시상식을 알리는 표지판은 없었다. 단지 '제7회 자랑스러운 한국장애인상 시상식'이라는 알림판만 있을 뿐이었다.

시상식장에 들어선 차씨는 그제야 글짓기 대회 시상식과 한국장애인상 시상식이 함께 열린다는 사실을 알았다. 차씨는 "비록 '장애인과 함께 하는' 문예글짓기 대회라고 하지만 비장애인보다 분명 장애인이 주가 되는 행사이고 '제7회'보다는 '제10회'째의 행사가 단독 개최되든지 먼저 개최했어야 했다"며 "이럴 거라면 장애인들을 조금 더 나중에 불렀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그러나 그게 끝이 아니었다. 금방 열릴 줄 알았던 글짓기대회 시상식은 1시간이 가도 2시간이 가도 열리지 않았다.

2시경 시작된 시상식은 글짓기 대회 시상식이 아닌 한국장애인상 시상식이었다. 약 1시간 뒤에는 '제3회 자랑스러운 한국장애인상 흉상 전달식'이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서 새누리당 김정록 의원과 김갑재 (사)한국자원봉사협의회 이사, 이진훈 대구 수성구청장, 김기옥 서울시 의원 등이 자랑스러운 한국장애인상을 수상했다.

글짓기 대회 시상식은 3시30분이 돼서야 어수선한 분위기 가운데 진행됐다. 차씨가 시상식장에 도착한 지 2시간여 만이다. 2시간을 넘게 기다린 차씨는 수상을 하지도 못한 채 시상식장을 빠져나와야 했다. 오랜 대기시간으로 목과 다리에 심한 통증이 있었기 때문이다. 차씨에 따르면 시상식을 찾은 장애인들은 모두 30여명. 평균 3시간 이상을 대기해야 했다는 게 차씨의 설명이다.

"몇 날 며칠 발가락으로 썼는데…"

차씨의 상장은 며칠 뒤 택배로 도착했다. 착불이었다. 차씨는 3500원의 택배비를 부담했다. 부상은 없었다. 왼쪽 발만으로 몇 날 며칠에 걸쳐 A4용지 4장 분량의 긴 글을 쓴 차씨는 2시간을 넘게 기다려 상장 하나 받은 게 전부다. 대상을 수상한 차씨는 이날 장애인콜택시비 왕복 5400원과 활동보조인 시급 3만4000원을 썼다.

차씨는 "자랑스러운 한국장애인상을 수상한 이들에게는 명예가 돈보다 중요하겠지만 어려운 생활을 하는 장애인들에게는 돈도 중요하다"며 "일개 대학교의 동아리에서 하는 경진 대회도 10만∼200만원 정도의 부상이 있는데 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에서 주최하는 글짓기 대회에 부상이 없다는 것은 장애인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차씨는 또 "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은 자랑스러운 한국장애인상과 자랑스러운 한국장애인상 흉상 전달식의 관중으로 장애인들을 미끼로 동원한 셈"이라며 "'장애인들의 선거권을 위해 분투한다'는 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에서는 장애인들을 위한 예의와 배려를 전혀 찾아 볼 수 없고 오히려 차별만 잔뜩 있었다"고 토로했다.

차씨는 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을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제4조 2항과 제15조 1항의 위반으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했다. 하지만 사단법인이라 규제가 어렵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양해 구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 측은 "죄송하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 관계자는 <일요시사>와의 통화에서 "장애인들이 오랜 시간 기다리게 된 것에 대해서는 죄송하게 생각한다"면서도 "글짓기 시상식과 한국장애인상 시상식이 함께 진행된다는 사실은 미리 공지했다. 시상식이 진행될 당시에도 사회자가 수차례 양해를 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택배를 착불로 보낸 것은 시상식에 당연히 와야 하는 분들이 안 온 것이고 연맹 여건상 수신자 부담으로 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행사가 연맹의 생각과는 다르게 길어지고 늦어진 점에 대해서는 '죄송하다'는 의미를 담은 문안을 작성해 참석자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종해 기자<han1028@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