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체육계 비리' 수영연맹 복마전

한국뉴스


 

'또 체육계 비리' 수영연맹 복마전

일요시사 0 1173 0 0

국가대표 선발 뒷돈 일감 몰아주고 뒷돈

[일요시사 취재1팀] 박창민 기자 = 검찰이 최근 체육계를 향해 칼을 빼 들었다. 그 첫 타깃은 대한수영연맹. 검찰이 공사수주 비리와 수영연맹 간부의 횡령 혐의로 대한수영연맹 등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를 벌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이원석 부장검사)는 지난 2월17일 대한수영연맹과 강원수영연맹 등 20여곳을 압수수색하고, 대한수영연맹 간부 A씨 등 관계자 3명을 횡령 등 혐의로 체포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날 서울 송파구에 있는 대한수영연맹 사무실과 강원 춘천시에 있는 강원도수영연맹, 강원도체육회 사무실, 연맹 고위임원과 수영지도자 자택 등에서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스포츠 지원 사업자료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비리백화점

검찰은 광범위한 내사를 통해 대한수영연맹 및 관련 기관들이 나랏돈과 지원된 예산 일부를 유용하거나 사업을 부적절하게 운영하는 등 비리 단서를 포착한 것이다. 앞서 지난2월11일 문화체육관광부는 대한수영연맹 임원의 비위 사실을 적발, 보조금 지원을 중단한다고 밝힌바 있다.

체포된 A씨 등은 운영비를 포함한 공금을 다른 용도에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국고와 국민체육진흥기금에서 지원되는 연맹 측 운영비는 선수나 대회 운영·참가비 등 체육단체 본연의 목적에 사용돼야 하지만 부정한 곳에 쓰인 정황이 드러났다.

수영장 건립과 선수용 물품 구매 등에 투입돼야 할 돈이 다른 용도에 사용된 단서도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와 국민체육진흥기금에서 나온 수영연맹 지원금 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27억여원에 이른다.

수영연맹은 한국체육산업개발이 운영하는 올림픽수영장이 경기 단체 주최·주관 행사에 대관료를 할인해주는 점을 악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올림픽수영장을 연맹 소속 선수들의 훈련에 사용하는 것으로 거짓 문서를 보낸 후 연맹 임원이 운영하는 사설 클럽의 강습 장소로 사용했다.

다시 말해 올림픽수영장을 할인된 가격으로 사적으로 대관한 것이다. 해당 임원 A씨는 수영연맹에서 보내준 문서를 근거로 지난 2010년부터 할인된 가격으로 한국체육산업개발과 계약을 하고 이를 통해 지난해에만 6500만원의 이득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A씨는 배임수재 혐의도 받고 있다. A씨가 수영장 인증과 관련해 편의를 제공하는 대가로 업체로부터 수억원의 뒷돈을 받았다는 것이다.

  
 



A씨는 수영장 건립 및 개보수 공사를 특정 업체에 몰아주고 금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수영장 실내를 타일로 덮는 공사를 맡길 업체를 정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부정이 저질러진 것으로 보고 있다.

A씨 등 3명은 수영연맹 공금을 대규모로 빼돌린 뒤 필리핀, 강원랜드 카지노 등에서 10억여원을 도박으로 탕진한 혐의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 2월21일 국가 대표 선발 업무를 둘러싸고 금품 거래가 드러난 대한수영연맹 전무이사 정모씨에 대한 구속영장도 청구했다. 정씨는 최근 몇 년 동안 수영클럽을 운영하는 박모씨 등에게서 국가대표 수영선수 선발하는 과정에서 2억5000여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고위 임원들 줄줄이 구속
검 칼끝은? 정치권도 긴장

수영연맹 임원이기도 한 박씨의 클럽에서는 실제로 다수의 수영 국가대표 선수가 배출됐는데, 그는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정씨에게 회당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씩을 정기적으로 상납해 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박씨가 자신의 클럽 소속들이 국가대표로 선발되게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임원 자리를 유지하게 해달라는 부탁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수사팀은 정씨가 연맹의 다른 임원 2명으로부터 1억5000여만원을 받은 사실도 확인해 혐의에 포함시켰다. 검찰은 2002년부터 연맹 전무이사로 활동한 정씨가 돈을 받고 임원 선임에 개입했는지 등을 확인하고 있다.

검찰은 수영계 비리 수사 범위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분위기다. 지난 2일 대한수영연맹 임원을 체포한 검찰은 전남수영연맹을 압수수색했다. 강원수영연맹을 압수수색한 지 14일 만이다. 이날 A씨를 횡령 등 혐의로 체포하고 A씨가 전무이사로 재직 중인 전남수영연맹과 전남체육회 사무실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전남 목포에 있는 전남수영연맹 사무실 등지에서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회계장부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A씨가 전남수영연맹과 전남체육회 예산에서 일부를 빼돌린 단서를 잡고 법원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받아 이날 신병을 확보했다. A씨가 횡령한 돈 일부를 대한수영연맹 고위 간부 등에게 건넸는지 의심하고 있다.

대한수영연맹 간부들의 국가대표 선발 비리 등 각종 비리가 드러난 가운데 검찰의 칼끝은 이기흥 수영연맹 회장이자 대한체육회 수석부회장을 정조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체육계에서는 이 회장이 정부가 추진하는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의 통합에 대해 앞장서서 반대한 탓에 ‘정치적 희생양’이 되었다는 설도 나온다.

검찰은 지난해 9∼12월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스포츠 연구개발 사업과 관련한 예산 유용 비리를 적발하고 수사를 벌였다. 골프용품업체 M사와 스노보드 제조업체 K사, 디지털미디어 장비 제조업체 D사 등이 공단으로부터 지원된 연구개발비를 빼돌린 사실이 드러나 업체 대표 등이 줄줄이 구속돼 재판에 넘겨졌다.

물 흐린 연맹

이번 수영연맹 수사를 계기로 검찰은 대한체육회 산하 단체 전반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수영연맹 고위 관계자가 대한체육회에서 중책을 맡고 있는 데다 대한체육회 산하 대한사격연맹과 대한승마협회에서도 훈련비 횡령 등 비위 사실이 드러나 문체부의 보조금 지원이 중단된 상태다.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