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수거함 구제옷 괴담 오해와 진실

한국뉴스


 

의류수거함 구제옷 괴담 오해와 진실

일요시사 0 1301 0 0

죽은 사람이 입던? 입으면 재수 없다?

[일요시사 취재1팀] 신승훈 기자 = 불경기가 지속되면서 중고의류 열풍이 식을 줄 모르고 있다. 중고의류는 구제옷이라 불리며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거래되고 있다. 그러나 구제옷과 관련된 괴담들이 번지면서 일부 사람들에게 부정적 인식으로 자리 잡히기도 했다. <일요시사>는 구제 옷과 관련된 괴담의 허와 실을 짚어봤다. 

항간에 온라인상에서 구제옷이 ‘죽은 사람이 입던 옷인 경우가 있다’라는 괴담이 돌았다. 이밖에 ‘옷에는 사람의 혼이 담겨 있다’ ‘남이 입던 옷을 함부로 입으면 재수 없다’라는 말 등은 구제옷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떠도는 이야기다. 괴담의 진실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서울의 수입구제 메카 광장시장을 지난달 29일 찾았다.

가격 천차만별

구제옷에 대해 묻기 위해 구제옷 매장으로 발걸음을 옮겼지만 소비자의 숫자가 적은 영향으로 자리를 비운 매장주들의 모습도 심심치 않게 발견됐다. 남자 옷을 판매하는 광장시장 A매장 관계자에게 구제옷은 어디에서 오는 것이냐고 묻자 “캐나다, 일본 등지에서 온다”고 말했다 이어 “판매하다가 판매되지 않은 물건은 버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남성 정장 구제를 판매하는 B매장 관계자에게 조심스레 구제옷 괴담에 대해 물어봤다. B매장 관계자는 “그런 말이 떠도는 것은 사실”이라며 “아무래도 구제옷이 다른 사람이 입었던 옷이기 때문에 얼룩이 지거나 해진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광장시장 내 수입구제의 경우 일반 소비자가 주로 구매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깔끔하게 세탁이나 다림질을 한 경우가 많다. 발걸음을 조금 옮기자 여성 구제옷 매장이 펼쳐졌다. 상당히 많은 수의 여성들이 옷더미를 뒤적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옷을 고르던 이모씨에게 구제옷을 찾는 이유를 물었다.

이씨는 “가격이 저렴해서 좋다”며 “계절이 바뀔 때 마다 아이들 옷을 구매하러 온다”고 말했다. 이처럼 구제의 가장 큰 장점은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과 주인과 흥정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씨에게 구제옷에 대한 편견은 없냐고 묻자 이씨는 “그런 생각을 하면 구제옷은 못 입는다”면서 “되도록 깔끔해 보이는 옷 중에 마음에 드는 옷을 고르고 나서 세탁을 하면 새 옷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구제옷의 경우 상품 가격표도 떼지 않은 옷이 있는 반면에 색이 심하게 바래거나 얼룩이 있는 경우도 있다. 옷을 구매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옷의 지퍼와 단추에 이상은 없는지 여부를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반면에 구제옷에 대한 거부반응을 가진 사람들도 분명히 존재한다. 구제옷을 구매한 적이 있다는 박모씨는 “예전에 구제시장에서 청바지를 구입했는데 알고 보니 일본에서 만들어진 옷이었다”며 “일본 어디 지역에서 온 줄 알지 못하고 혹시나 방사능 사고가 난 후쿠시마에서 온 것이 아닐까 하는 걱정 때문에 청바지를 버렸다”고 말했다. 방사능에 대한 높은 우려 때문에 일본산 구제옷에 대한 거부반응을 보인 것이다.

특히 광장시장에 수입구제옷 매장을 살펴본 결과 일본산 구제옷의 비중이 캐나다나 다른 나라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광장시장 구제 소매업주는 “주로 일본산이 많다”며 “여성복이 특히 일본에서 많이 들어온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구제 도·소매시장을 형성하는 일산 식사동 구제거리를 방문해 가장 먼저 눈에 띈 점은 사람들 양손에 든 큰 검정비닐 봉지였다. 식사동을 방문한 사람들은 대량의 구제옷을 사들고 차에 실었다.

오프라인 중고의류 거래 활발
떠도는 소문으로 부정적 인식

이처럼 식사동에서 구제옷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제옷 괴담에 대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 구제 도매 창고로 향했다. 창고에는 포대자루에 담긴 옷더미가 쌓여있었다. 온라인에서 떠도는 ‘옷 쌓아두는 창고는 더러워서 쥐나 벌레들이 많이 돌아다닌다’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창고 곳곳을 살펴보니 쥐나 바퀴벌레가 보이지는 않았지만 위생이나 청결 문제는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었다.

수시로 들어오는 물건들을 도매업주 혼자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모습이었다. 도매업주에게 구제옷은 어디에서 오는 것이냐 물었다. 도매업주는 “전국 각지에서 온다”며 “직접 수거를 다니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의류수거함에 있는 옷도 여기에서 다룬다”며 “옷마다 어디에서 왔는지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옷에 얼룩이나 피가 묻어 있을 수도 있냐는 질문에 그는 “여기는 세탁을 해서 물건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다”며 “세탁이나 다림질은 소매업주 분들이 개별적으로 한다”고 말했다. 구제옷이 도매로 거래될 당시에는 세탁을 하지 않지만 소매업주들이 판매를 위해 자발적으로 세탁을 한다는 것이다. 창고 안의 옷을 둘러봤지만 인터넷에 떠도는 말처럼 피 얼룩이 있거나 심하게 훼손된 옷들은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 도매업주는 “옷 상태가 엉망인 것들은 팔 수 없다”며 “소비자들도 저렴한 가격에 좋은 물건을 구매하고 싶기 때문에 외견상 하자가 있는 물건을 내놓기 어렵다”고 말했다. 구제 도매점에서 거래되고 있는 새 옷처럼 보이는 한 청바지를 살펴봤다. 주머니에서 지난해 1월23일자 택시요금 영수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옷의 최초 구매자가 최소 2015년에는 옷을 입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서울 동대문 광장시장 내 수입구제 매장

우리나라 각지에서 모인 물건들이 해외로 나가냐는 질문에 도매업주는 “여기서 따로 수출을 하지는 않는다”며 “수출은 무역회사들이 수거업자들을 통해 구제옷을 구입한 후 수출한다”고 말했다. 이어 “수량이 부족할 때에는 도매점에서 구매해 가는 경우는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구제옷의 경우 동남아 등지로 팔려가는 것으로 알려진다.

식사동을 찾는 사람들이 일반 개인 소비자인지 아니면 소매업주인지 여부에 대해 도매업주는 “식사동 구제거리에 오시는 분들은 대부분 소매업자들”이라며 “그분들이 직접 와서 좋은 물건들을 골라간다”고 말했다. 도매에서 소매로 넘어갈 때 가격을 묻자 “브랜드 있는 구제옷을 제외하고는 옷은 종류별로 kg 단위로 매매된다”며 “kg당 2000~5000원에 이른다”라고 말했다.

세탁은 소매상이

도매업주에 따르면 국내산 구제옷이 소비자를 만나는 과정의 키 포인트는 의류수거함이다. 의류수거함을 통해 일반시민들은 현재 입지 않거나 유행이 지난 옷을 의류수거함에 넣는다. 의류수거함의 관리주체에 종합수거업체가 일정 부분의 금액을 지불하고 수거할 권리를 따낸다.

이때 의류만 전문으로 하는 수거업체가 종합수거업체에 또 일정 부분의 금액을 지불하고 재하청을 받는다. 이렇게 의류수거업체에서 수거한 옷들은 다시 무역회사가 1kg당 600원 정도에 사들인다. 여름옷의 경우 한 벌에 100원, 겨울옷은 500∼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shs@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의류수거함 옷 꺼내면?

의류수거함에서 옷을 꺼내 입은 몽골 유학생들이 특수절도 혐의로 입건됐다. 인천연수경찰서는 날씨가 춥다는 이유로 주택가 의류수거함에서 옷을 훔친 몽골 유학생 A씨 등 3명을 지난 16일 특수절도 혐의로 조사 중이다.

A씨 등은 지난 1월31일 영하 6.5℃를 기록한 날씨에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의류수거함에서 옷을 꺼내 입었다. 이들은 CCTV를 통해 경찰에 붙잡혔다. 버려진 옷은 폐기물로 취급돼 주워간다고 해도 절도죄 등 불법·위법적 요소가 성립되지 않지만 의류 수거함은 사유재산으로 수거함 내의 옷을 가져가는 행위는 절도죄에 해당한다. <훈>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