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시상식 ‘퍼주기’ 논란

한국뉴스


 

<와글와글net세상> 연말 시상식 ‘퍼주기’ 논란

일요시사 0 1699 0 0
 ▲ 본 사진은 특정기사와 관련없음

“재미도 없고, 감동도 없다”

[일요시사 경제1팀] 한종해 기자 = 방송사 연말시상식의 소위 '상 퍼주기' 관행이 끊이질 않고 있다. 공동수상이 난무했고 참석한 사람 대부분이 상을 나눠 갖는 '출석상'도 반복됐다. 대체 왜 만들었는지 모를 상들이 시청자들의 눈을 어지럽게 했다. 프로그램명을 '연예인 축제'라고 바꿔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는 실정. 조만간 대상 수상자도 2명 이상이 될 것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2014년 지상파 3사 MBC, KBS, SBS의 연말 시상식이 모두 마무리됐지만 이번에도 상 퍼주기란 비난을 벗어나지 못했다. '공동 수상'과 '시상 부문 쪼개기'라는 방송국의 상 퍼주기 방법도 여전했다.

SBS의 경우 총 27개 부문에서 시상을 했다. 베스트팀워크상과 별도로 베스트패밀리상이, 신인상과 별도로 뉴스타상이 주어졌다. 베스트팀워크상은 <붕어빵> 팀 전체가 무대에 올라왔고, 베스트패밀리상은 <오 마이 베이비>에 출연한 네 가족에게 수상됐다. 공동 수상도 많았다. 단 한 명이 수여한 상은 최우수상과 우수상, 프로듀서상, 아나운서상에 불과했다.

시청률 하락

정점은 MBC가 찍었다. MBC는 총 31개 부문에서 시상을 했다. 17개 부문에서 시상한 KBS의 2배 수준이다. 특별상만 MC, 버라이어티, 뮤직토크쇼, 가수, 베스트팀워크 등 다섯 부문으로 나눠 시상했다. 이날 참석한 연예인 중 트로피를 들고 가지 못한 이들은 거의 없었다.

수상자는 MC 부문 김성주, 버라이어티 부문 <아빠! 어디가?>의 안정환과 <진짜사나이-여군특집> 홍은희, 뮤직토크쇼 부분 <라디오스타> <세바퀴>의 김구라, 가수 부문 씨스타, 케이윌, 베스트팀워크 부문 <나 혼자 산다> 팀 등 총 7팀에 달했다. 신인상은 송재림, 헨리, 유라, 혜리 등 총 4명에게 돌아갔다.

아이러니하게도 시청률은 KBS가 가장 높았다. 지난달 27일 방송 3사 중 가장 먼저 개최된 KBS 연예대상 1, 2부는 각각 13.4%, 15.0% 시청률을 기록했다. 이틀 뒤 방송된 MBC 방송연예대상 1, 2부는 각각 13.6%와 14.4%를 기록했다. 가장 늦게 열린 SBS 연예대상 1, 2부 시청률은 각각 9.2%, 11.5%였다.

'상 남발' 관행 여전…공동수상 난무
별별 이름 붙인 트로피 쪼개기 시상

당초 방송 3사의 연예대상 시상 부문은 7~10개에 불과했다. 수상자도 16~20명으로 지금보다 적었다. 보통 연예대상 시상 부문은 버라이어티, 코미디, 라디오, PD들이 뽑은 최고의 연예인상, 방송연예대상 등으로 나눠지며 수상자는 남녀 각 1명 또는 남녀 불문 1명, 프로그램 1개가 받는 게 정석이었다. 방송 3사들은 긴 프로그램 시간을 채우기 위해 수상 소감 시간을 길게 가졌고 시상식 중간에 넣는 축하공연 등 볼거리도 풍성했다.



 



  ▲ 본 사진은 특정기사와 관련없음

누리꾼들은 "아무리 퍼줘도 정도가 있어야지"라는 반응이다. 아이디 이원*는 뉴스 댓글에 "어이구 저 상준 리스트 봐. 해마다 지들끼리 잔치 왜 하는지 모르겠다. 재미도 드럽게 없고 전파낭비야. 이런 시상식 할 거면 방송사 다 모아서 딱 하나만 하자 공신력이 전혀 없어. 발롱도르처럼 주란 말이야"라는 글을 남겼다. 

'발롱도르'는 프랑스어로 '황금빛 공'이라는 뜻으로 프랑스 축구 전문지 <프랑스풋볼>이 매년 선정하는 올해의 유럽 축구 선수상이다. 축구 부문 개인상 중 가장 명성 있는 상으로 여겨지며 전 세계 축구선수 중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1인에게만 수여된다. 국제축구연맹(FIFA)는 전 세계 최고 선수를 뽑는 단 하나의 상을 위해 지난 2010년 'FIFA 올해의 선수상'과 '발롱도르'를 통합해 'FIFA 발롱도르'로 단일화했다. 매년 수상 부문을 쪼개는 방송 3사와는 상반되는 모습이다.

아이디 mim0****은 "나도 가서 앉아있으면 베스트 시청자상, 방송의 주인상, 시청률의 어버이상 중 하나 받을 듯. 스펙 필요한 사람들은 가보세요"라는 우스꽝스러운 댓글을 달았다.

아이디 kim3****은 "이럴 것 같아서 아예 시상식을 안 보는 1인"이라며 "정작 방송 3사는 이걸 모르는 것인가"라는 의문을 표했다. 아이디 with****도 "올해도 다 주는구나 싶어서 오랜만에 생활의 달인 봤다. 이제 드라마 봐야지"라는 글을 달았다.

아이디 leey****은 블로그에 "내가 매년마다 말하는 건데…. 그래서 방송통신위원회에 질문도 올렸었다. 대상 시상식 통합하면 안 되겠냐고, 그런데 거기서는 기업 자율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하더라. 방송3사 관계자 여러분 그리고 사장님들. 이 글을 보신다면 한번만 생각해 주십시오. 가요대상 부활하고 S본부, K본부, M본부 각각 대상 하나만 가져가고 그랬으면 좋을 거 같은데. 심사는 까다롭지만 투명하게 한다면 후보에 올라와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값어치는 될 것 같은데. 상을 받은 분들은 가문의 영광으로 여길 것이고. 그리고 대상 시상식의 격은 한층 더 올라갈 것입니다"라고 제안했다.

못 받으면 바보?

아이디 yong****은 페이스북을 통해 "이런 거 보면 우리나라 윗대가리들 참 무식해. 방송계도 어쩔 수 없구나. 윗대가리들은 안 주면 섭섭해 할 거 같아서 그런 가 본데 나누지 말고 우수상 남녀 한 명, 최우수상 남녀 한 명, 대상 한 명 이렇게 주면 받은 사람보다 안 받은 사람이 많아서 안 받아도 괜찮게 되는 건데. 그 많은 트로피 만들 돈으로 진짜 비싼 트로피와 부상을 주면 받은 사람들 다 울걸? 시상식이라고 하지만 그냥 연기자 파티, 예능인 파티 이렇게 제목 붙여라 연말 송년회하는 것도 아니고"라고 비난했다.

아이디 mysl****는 "보면 볼수록 헉소리가 나오는 시상식 진짜 보는 내내 불편했습니다. 시상식 무대 위엔 저글링 마냥 사람들이 넘쳐났고 대상을 올해의 예능상이라. 사실 취지는 좋은데 이 또한 시상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며 나는 가수다의 경우 처음에야 파급력이 어마어마했지만 연말에는 사실 음원이 상위차트를 잘 기록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가수들의 무대는 보기도 좋고 듣기도 좋지만 음원이나 시청률 면에서 대중들의 관심이 대상에 미칠 정도는 아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라고 말했다.

<han1028@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