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희 진실규명' 이상한 줄다리기

한국뉴스


 

'김현희 진실규명' 이상한 줄다리기

일요시사 0 852 0 0

생뚱맞은 고백 "나 테러범 맞다니까?"

[일요시사=정치팀] 지난 15일 밤 전 국민은 지상파 방송인 MBC를 통해 70여분간이나 황당한 진상규명을 지켜봐야만 했다. 주변에선 아니라는데 무려 115명의 목숨을 앗아간 테러범이 떳떳하게 방송에 나와 "내가 진짜 범인"이라고 주장하는 모습이었다. 그는 또 "내가 맞다는데 왜 쓸데없는 문제제기를 하느냐? 문제제기를 하는 행위 자체가 좌파고, 그건 북한을 이롭게 하는 이적행위"라며 시청자들을 꾸짖기까지 했다.

문화방송 MBC는 지난 15일 밤 갑작스레 예정돼 있던 <100분토론>의 방영을 취소하고 <특별대담 마유미의 삶, 김현희의 고백>을 긴급 방송했다. 이날 방송은 '007작전'을 방불케 했다. 사건 사고 등의 긴급뉴스가 아닌 한 개인과의 대담을 이렇듯 급하게 편성하고 방송하는 경우는 유례가 없었던 일이다. 녹화도 불과 방송 7시간 전 급하게 이뤄졌던 것으로 밝혀졌다. 녹화 후 편집시간까지 따져보면 거의 생방송에 가까운 스케줄이었다.

007 기습 방송

지금은 잊혀진 이름이지만 김현희는 지난 1987년 11월29일 발생했던 KAL기 폭파사건의 주범이다. 김현희는 사건 당시 '하치야 마유미'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김현희는 일본 여권을 발급받아 바그다드 발, 서울 착 KAL 858기에 탑승해 폭탄을 설치했다. 비행기는 버마 인근 안다만 해역 상공에서 공중 폭발해 승무원과 탑승객 115명 전원이 사망했다.

폭파 후 자신의 신분이 들통 나자 김현희는 자살용 앰플을 깨물었다. 공범인 김승일(하치야 신이치)은 그 자리에서 즉사했으나 김현희는 응급처치 후 한국으로 압송됐다. 당시 국가안전기획부는 '일본인으로 위장한 북한공작원 김승일과 김현희가 북한의 지령에 따라 88서울올림픽을 방해하기 위해 저지른 범행'이라고 밝혔다. 김현희는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1990년 노태우 정권 시절 특별사면으로 풀려났다. 사건 이후 김현희는 자신을 경호했던 안기부 직원과 결혼해 평범한 가정을 이루고 두 아이의 엄마로 살고 있다.

사건 발생 후 25년의 시간이 지났다. 그러나 KAL기 폭파사건은 그 후로도 수많은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일부에선 87년 대선 당시 여론의 조작을 위한 전두환 정권과 민정당, 안기부에 의한 자작극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실제로 당시 노태우 민정당 후보는 여론조사에서 김영삼 후보에 이어 2위를 달리고 있었으나, 사건 직후 지지율이 급상승하면서 단숨에 압도적인 1위로 올라섰고 결국 대선에서 승리했다. 

이날 방송에서 김현희와 진행자 신동호 아나운서는 사건 당시의 정황과 이후 수사과정을 되짚는 한편, 인간 김현희가 살아가는 이야기를 곁들였다. 무엇보다 지난 2003년 MBC <PD수첩>의 방송으로 시작됐던 '가짜 김현희' 소동을 되짚으며 그녀가 KAL기 폭파의 진범이 맞다고 거듭 입증하는 데 많은 시간과 공을 들였다.

김현희는 "제가 가짜면 대한민국은 테러국이 되는 것이고 북한은 억울한 누명을 쓴 것이 된다"고 말했다. 또 "2003년 좌파정권이 하자는 대로 했다면 먼 훗날 저는 역사의 심판을 받았을 것"이라며 "정권이 바뀌면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로 견뎌왔다"고 했다. 자신이 저지른 테러를 입증하는 것이 대한민국이 자신을 살려준 이유이자 자신이 살아있는 이유라는 주장이었다.

김현희 특별대담, "테러범 미화" 논란 가열
MBC노조 "김재철 구하려 정치쇼 벌인 것"

한편 이날 방송은 방송문화진흥회(이하 방문진)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더 큰 후폭풍을 몰고 오고 있다. 방문진은 MBC 사장 임명권을 가진 기구다. 방문진이 MBC 경영에 대한 관리감독권은 몰라도 프로그램 편성에 개입하는 것은 명백한 월권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MBC는 이 같은 방송을 긴급편성 한 것일까? 일단 MBC 측은 지난 2003년 11월18일 방송된 <PD수첩-16년간의 의혹, KAL기 폭파범 김현희의 진실> 편이 편파적으로 방송돼 이에 따른 후속조치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방송 관계자들은 "당시 MBC 보도에 문제가 있었다면 김현희는 언론중재위에 문제를 제기하거나 소송의 절차를 밟을 수도 있었다. 그런데 당시에는 아무런 문제제기도 하지 않다가 10년이 지난 지금 MBC 스스로 선정적인 자료화면을 곁들여가며, 1시간 동안이나 반론의 기회를 주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10년 전 자사 방송을 자사 방송을 통해 무려 70여 분에 걸쳐 신랄하게 비판하는 광경은 전 세계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장면이었다. 진행을 맡은 신동호 아나운서는 당시 <PD수첩> 보도에 대해 "저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MBC노동조합(위원장 정영하)은 방송 다음 날인 지난 16일 성명을 내고 이번 방송은 '김재철 MBC 사장의 생존을 위한 정치적 도구'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MBC노조 관계자는 성명을 통해 "무엇보다 김재철 경영진이 왜 지금 이 시점에 (방문진의) 요구를 방송으로 반영했는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마침 인수위 활동과 2월 주총을 앞두고 김재철 거취에 대한 소문이 무성했던 시점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번 특별대담 방송을 통해 MBC노조와 맞닿아 있는 <PD수첩>을 공격함으로써 국민들에게 MBC노조가 좌파노조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이로써 김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MBC노조를 궁지로 몰아넣기 위한 한편의 '정치쇼'였다는 주장이다.

또 한편에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MBC가 최근 인수위 운영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논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박 당선인을 돕기 위해 이번 편성을 강행한 것이란 주장도 있다. 현재 전문가들은 그 실체를 정확히 파악할 순 없지만 MBC의 이번 깜짝방송이 "여론의 환기를 통해 무언가를 덮기 위한 공작"이라는 것엔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다.

덮으려는 진실은?

일각에선 최근 침체일로를 걷고 있는 MBC가 단순히 시청률을 높여 수익창출을 하기 위해 이번 특집대담을 편성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익창출을 하려면 광고가 붙어야 하는 건데 그렇다면 미리 편성사실을 알려야 하는 것 아닌가? 아무리 시청률이 잘 나와도 이런 깜짝편성으론 수익을 얻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한 정치 전문가는 "과연 115명을 죽인 테러범을 마치 유명인사를 모시듯 방송에 출연시켜 범인이 자신이 범인임을 의심하는 사람들에게 격분하는 장면을 방영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정치적 의도가 숨겨져 있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명일 기자 <mi737@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