④명절이 싫은 탈북자 차지성씨 망향가

한국뉴스


 

<추석특집> ④명절이 싫은 탈북자 차지성씨 망향가

일요시사 0 1086 0 0
▲ 1960년대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북한. 탈북자들은 북한의 미래를 내다볼 수 없다고 말한다. <사진=북한개혁방송>

“북에선 차 없어 성묘도 못갑니다”

[일요시사 사회2팀] 유시혁 기자 = 민족 대명절이 달갑지 않은 이들이 있다. 북녘에 가족을 두고 떠난 탈북자들이다. 만나고 싶어도 만날 수 없는 슬픈 현실에 추석 명절도 외롭게 보낼 탈북자들. <일요시사>가 탈북자 차지성(50·가명)씨를 만나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들어봤다.

2012년 5월, 남편을 잃고 두 자녀와 함께 지내는 여동생 차미향(가명)씨에게 “남한에서 만나자”고 약속을 한 차씨는 이내 두만강을 건넌다. 탈북에 성공한 차씨는 4개월의 노력 끝에 2012년 9월 남한에 입국했다. 이후 남한에서 일해 번 돈으로 동생의 탈북을 도우려 했으나 그 또한 여의치 않았다.

60년대 멈춘 북

2005년 남편을 잃은 여동생과는 평소 살갑게 지냈다. 여느 오누이 사이에서는 볼 수 없는 끈끈한 정이 있었다. 브로커를 만나 탈북을 준비하며 내내 여동생이 마음에 걸렸지만 형편상 아내와 자녀만 동반할 수밖에 없었다. 북한을 떠나기 전 여동생에게 “남한에서 만나자”고 했지만 3년째 여동생이 살아 있다는 소식만 전해들을 뿐이다.

누나가 먼저 탈북해 북한에는 동생네 가족만 남아있는 상황이다. 최근 여동생의 탈북을 다시 한 번 도우려했으나 여동생이 탈북브로커에게 거절의사를 밝혔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 올 추석에도 돌아가신 부모님의 차례상을 홀로 준비할 여동생만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진다는 차씨.

“동생이 탈북하려다 경비정에 걸려 1년간 구치소 생활을 한 적이 있는데, 그 과정에서 극심한 고통을 당했던 모양입니다. 언니와 오빠가 탈북했기 때문에 남들보다 더 가혹한 처벌을 받았을지도 모르죠. 늘 미안하고 보고 싶다는 말밖에는 해줄 말이 없습니다.”

북한에서 감시대상 1호는 탈북자들의 일가친척들이다. 그래서 이들이 탈북한다는 것은 보통 각오가 아니면 이뤄질 수 없다. 차씨는 조카들 나이가 어느덧 스물예닐곱쯤 됐을 텐데, 이들에게 탈북뿐만 아니라 취업마저 걸림돌이 되지는 않았을까 걱정이다. 직접 전달할 수만 있다면 ‘북한은 사람이 살만한 곳이 아니다’는 말을 꼭 해주고 싶다. 남한에서 지내보니 더 절실히 깨닫게 된 사실이다.

“친척들뿐만 아니라 북한사람 모두가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세상에서 살길 바랍니다. 비록 배운 것도, 가진 것도 없다지만 그렇다고 해서 북한에서만 살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홀로 있을 여동생 생각에…
명절만 돌아오면 “외롭다”

차씨가 탈북을 결심하게 된 이유는 남한을 알고서다. 남한에서 북한 소식을 접하기 힘들 뿐이지, 북한에서는 전 세계의 소식을 불법 경로를 통해 쉽게 접한다. 이미 많은 북한민들이 한국드라마와 대중가요를 접하고 있다.

차씨가 드라마에서 본 남한은 가히 놀라울 정도로 발전해 있었다. 처음에는 방송에서 비춰진 모습만 좋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드라마를 접하면 접할수록 현실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고향에서 보이던 두만강 넘어 중국 길림성 장백현의 모습은 어릴 적에 보아온 모습과는 많이 달라 있었다.

“북한은 1960년대나 지금이나 변함없어요. 미래가 불분명하죠. 나와 부인이야 어떻게든 살 테지만 점점 커가는 아이들을 보고 있자니 내버려 둘 수는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게 악착같이 돈을 모아서 남한에 오게 됐죠.”

 

▲ 목숨을 걸고 탈북을 시도하는 북한민들. 그들이 원하는 것은 오로지 사람답게 사는 것. <사진=북한개혁방송>

그렇다면 차씨는 한국생활에 만족할까. 차씨는 한국 정부가 불법체류자 신세가 됐을지도 모르는 탈북자들에게 많은 지원을 해줘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차씨는 자본주의에 맞춰 나가려다 보니 경쟁에 밀리지는 않을까 두려울 때가 있곤 하다. 그래서 현실에 안주하지 않기 위해 부단히 노력 중이다. 다만 남한에 온지 만 3년째가 됐으나 아직까지도 음식이 입에 맞지 않다.

“북한이 상대적으로 못 살아서인지는 모르겠으나 그쪽 음식에는 조미료가 들어가지 않아 자연의 맛이 느껴집니다. 남한의 음식은 단맛이 너무 강해요. 고추장만 찍어 먹어봐도 단맛이 느껴집니다.”

추석이다. 차씨는 돌아가신 부모님께 성묘는 못 가더라도 차례상은 정성스럽게 준비할 생각이다. 북한에 있을 때는 형편이 여의치 않아 차례상에 햇과일 한 번 올린 적이 없다. 추석을 앞두고 물가가 급등하기 때문에 수개월 전부터 여유가 생길 때마다 과일을 하나둘 마련했다. 대부분 냉장고가 없기 때문에 떡과 전, 육고기, 생선 정도는 추석을 며칠 남겨두지 않고 준비한다.

상상도 못한 진수성찬 제사상
처음 보는 친척들 모인 모습

“임진강에 한번 가보려고요. 가족들과 함께 북한을 바라보며 조상에 예를 갖추고 남아있는 친척들의 건강을 기원할 예정입니다.”

차씨는 남북간 추석 문화도 다르다고 했다. 남한에서는 추석 한 달 전부터 벌초를 한다. 북한에서는 바로 옆 군소재지를 가는데도 하루가 꼬박 걸리기 때문에 추석 당일에 벌초를 하고 차례를 지낸다. 남한에서는 추석이나 설이 되면 한복을 입은 남성들을 종종 눈에 띈다.

북한에서는 한복이 여성들만의 의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차씨가 남성 한복을 본 건 소싯적 이후 남한에서 처음이었다. 특히 북한은 설과 추석이 민족대명절이긴 하나 연휴 없이 당일만 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걸어서 이동이 가능한 친척들끼리만 모일 수밖에 없다. 하루 생활권이 아닌 이상 친척들 간의 왕래가 쉽지 않다.

추석문화도 다른 남북

“실제로 본 적은 없으나 남한에선 친척들 열댓 명이 한 상 앞에 앉아 추석음식을 나눠먹고 오락을 한다고 들었습니다. 부러운 문화 중 하나죠. 북한 사람들은 성묘도 각기 따로 다닙니다. 자동차가 없기 때문에 가족이 함께 산소를 간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evernuri@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