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아리 신화’ 하림 급성장 비화

한국뉴스


 

‘병아리 신화’ 하림 급성장 비화

일요시사 0 1073 0 0

37년 만에…생닭 팔아 재벌 됐다

[일요시사 취재1팀] 이광호 기자 = 닭고기 가공업체 하림이 내년 봄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대기업집단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병아리 10마리에서 시작한 닭고기 업체가 어느덧 재벌 반열에 올라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에는 강남 논현동에 사옥을 올리기도 했다. 급성장한 하림그룹의 비화를 살펴봤다.

닭고기 가공업체 하림그룹이 이르면 내년 봄 공정거래위 지정 대기업 반열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하림그룹은 그간 유관 업종을 중심으로 꾸준히 계열사를 늘렸다. 그중에서도 국내 벌크선사 부문 국내 1위 해상운송업체 팬오션 인수는 큰 의미를 갖는다. 지난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하립그룹의 자산총액은 4조3000억원으로 오는 6월 팬오션을 인수할 경우 자산 총액이 5조원을 넘어 내년 4월 공정거래위가 지정하는 대기업 집단에 편입될 확률이 높다. 

한우물 파더니…

앞서 하림은 지난 2월 JKL과 팬오션(구 STX 팬오션) 인수를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인수가는 1조79억원이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팬오션은 부채 3조444억원, 자본 1조3950억원 등 총 4조4394억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해상운송업체다. 하림그룹이 오는 6월 팬오션을 인수하면 총 자산규모는 9조원을 웃돌게 된다. 대기업집단은 자산총액이 5조원 이상인 기업집단으로 현재 61곳이 지정돼 있다.

하림그룹이 대기업집단에 편입되면 상호 출자와 채무 보증에 제한을 받는 등 각종 규제에 묶이게 된다. 하지만 공식적으로 대기업 반열에 들어선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대기업집단 편입에 대비하고 있는 하림그룹은 그룹 차원의 홍보 인력을 강화하고 새로 발생할 각종 규제에 대한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 글로벌 식품기업으로서의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닭 가공업체에서 시작한 하림이 성장을 거듭해 대기업집단에 포함되기까지의 과정은 인상적이다. 하림그룹 김홍국 회장은 11살 때 외할머니가 사준 병아리 10마리를 되파는 방식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김 회장은 당시 병아리를 키워 닭 10마리를 판 돈으로 병아리 100마리를 다시 샀고, 그 병아리를 또 키워 파는 방식으로 돈을 벌어 초등학교 6학년 때 돼지 18마리를 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1978년 전북 익산시 황등면의 육계공장을 설립했고 1986년에는 하림식품을 세워 사육·사료·가공·유통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그리하여 하림그룹은 연매출 4조원이 넘는 국내 최대 축산업체로 자리매김했다. 닭고기 등 육류 수요가 증가하면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림그룹은 지난해 주력 산업과는 다른 업종인 해운운송업체 팬오션 인수전에 뛰어들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하림은 축산업에 필요한 옥수수, 대두박 등 사료 원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팬오션을 무리 없이 인수할 경우 곡물을 실어 나르는 벌크선 인프라를 갖추게 된다. 그러면 운송비용을 절감하고 유통망을 안정화할 것으로 보인다. 

팬오션 인수로 총 자산규모 9조
내년 4월 대기업집단 편입 예정

하림그룹은 더 나아가 팬오션의 해운 물류망을 통해 미국·남미 등에서 곡물을 직접 수입해 동북아시아에 공급함으로써 하림그룹을 세계 최대 곡물 회사 ‘카길’에 버금가는 글로벌 곡물 유통 기업으로 키우겠다는 구상도 세우고 있다. 동시에 계열사 엔에스쇼핑을 주축으로 한 식품전문유통 기업으로서의 비전과 목표를 공고히 하고 있다.

하림그룹 관계자는 “팬오션 인수를 통한 곡물 유통업 진출은 축산·사료업의 연장선 상에 있다”며 “해외 곡물을 유통하는 국내 유일 기업으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하림그룹은 탄탄대로를 달리고 있다. 하지만 대기업 반열에 오르기 전에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될 문제가 있다. 바로 ‘일감 몰아주기 규제’다. 김 회장의 아들 준영씨는 안심·다리 등 닭고기 부위별 판매사 ‘올품’의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다. 내부거래 매출이 700억원 이상이다.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하림그룹은 지주사 ‘하림홀딩스’ ‘제일홀딩스’, 상장사 ‘하림’ ‘팜스코’ ‘선진’, 비상장사 ‘제일사료’ ‘엔에스쇼핑’(NS홈쇼핑) 등 31개 계열사를 갖고 있다. 지주사는 2개로 알려져 있지만 올품도 실질적인 지주사다. 


올품은 지난해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을 살펴보면 제일사료, 팜스코, 하림, 선진, 조하, 엔에스쇼핑, 에코캐피탈, 기타회사 등 72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올품 전체 매출액의 21%인 3470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올품은 한국썸벧, 제일홀딩스, 하림홀딩스로 연결되는 고리의 정점에 있다. 하림그룹의 또 하나의 지주사라고 불린다. 때문에 올품이 그룹 상속의 도구가 아니냐는 불편한 시각이 나온다. 편법상속을 꾀한다는 의혹을 떨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현행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은 총수 및 친족이 지분 30%(비상장사 20%)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계열사 중 내부거래 매출액 비중이 12% 이상이거나 200억원 이상인 기업이다. 하림그룹이 아직 대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리진 않았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하림그룹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자는 올품의 내부거래 비중이라고 입을 모은다.

내부거래 풀어야

김 회장은 지난해 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상징과 같은 이각 모자를 모자 경매 가격으로는 역대 최고인 188만4000유로(한화 약 25억8000만원)에 낙찰 받았다. 당시 하림 측은 현재 건설 중인 강남 논현동 신사옥을 위해 이 모자를 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회장이 평소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1세의 ‘불가능은 없다’는 도전정신을 높이 사왔으며 ‘기업가 정신’을 다시 한 번 일깨우는 의미에서 마침 경매로 나온 모자를 구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나폴레옹 이각 모자 때문일까. 지금 하림그룹을 보면 말을 탄 나폴레옹이 연상될 정도로 승승장구하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김 회장이 말한 기업가 정신을 다시금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khlee@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하림그룹의 숙제

하림그룹이 팬오션 인수에 들인 자금은 1조79억5000만원이다. 그룹 측은 ‘제2의 카길’을 외치고 있지만 인수·합병 과정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실제 가치보다 높은 가격에 인수가 이뤄짐으로써 하림그룹이 큰 부담을 안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기존의 거대 곡물메이저들과 협력 경쟁구도 속에서 독자적인 입지를 구축해야하는 과제를 안게 돼 마냥 웃고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광>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