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하게 생긴 스키장, 왜?

한국뉴스


 

망하게 생긴 스키장, 왜?

일요시사 0 802 0 0

추운 겨울에도 할 게 많아서…

[일요시사 취재1팀] 신승훈 기자 = 2000년대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공공행진을 달리던 스키장 산업이 최근 몇 년 사이 이용객 감소가 두드러진다. 경기 불황과 취업난이 계속되면서 주 수요층인 20~30대의 발걸음이 줄어들고, 여기에 스키시장 자체가 성숙기를 넘어 쇠퇴기에 접어들면서 겨울 레저의 상징 ‘스키장’이 위기에 처했다.

한국스키장경영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스키장 이용객 숫자는 2012년 686만여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13시즌(12.11~13.4) 630만여명, 14시즌(13.11~14.4) 558만여명, 15시즌(14.11~15.4), 511만여명으로 수직 감소하고 있다.

줄어든 이용객

10년 넘게 가장 많은 이용객이 찾은 대명비발디의 경우 12시즌 이후 지속적으로 이용객 수가 감소하고 있다. 14시즌에 94만여명의 이용객이 방문해 반짝 상승한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5시즌에는 72만여명이 찾아 전년 대비 23% 감소했다. 이용객의 감소는 곧바로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대명리조트의 공시자료에 따르면, 2012년 매출액은 비공개지만 영업손실은 6000여만원을 기록했다. 2013년 매출액은 14억8천여만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손실은 23억여원에 달해 영업 손실만 전년 대비 339% 증가했다. 한때 업계 1위~2위를 다투던 무주덕유산리조트도 영업실적이 좋지 않다. 2013년에 매출액 665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34억9212만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듬해 매출액은 592억원, 65억5916만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01시즌부터 14시즌까지 꾸준히 40만~50만명의 이용객이 찾은 신안종합리조트의 웰리힐리의 경우도 상황은 좋지 않다. 2013년 매출액 393억원, 영업손실 123억5208만원을 기록했고, 2014년에는 매출액 376억원, 영업손실 110억433만원을 나타냈다. 이처럼 최근 4~5년 사이 영업실적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영업실적의 악화는 이용객 감소와 궤를 같이 한다. 이용객의 측면에서 겨울철 스키장의 주 이용객인 20~30대가 취업난으로 경제적 여유가 없어지면서 겨울 레저 시장도 침체를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업계에 따르면 이용객 감소의 원인으로 경기 침체를 꼽는다. 스키장에 가려면 교통비뿐만 아니라 리프트 이용비, 장비 대여비, 숙박비까지 포함하면 일인당 10만원이 훌쩍 넘는다. 불황이 지속되는 요즘 같은 시기에 가구단위로 스키장을 가기에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07시즌에 처음 문을 연 하이원리조트의 경우 단기간에 치고 오르며 최근 5시즌 연속 이용객 순위 2등을 기록했다. 12시즌 86만명을 찍은 이후 지난해 62만명으로 숫자가 줄었다.

16시즌 이용객 수 전망치에 대해 하이원 관계자는 “예년에 비해 5% 정도 이용객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날씨가 따뜻해 자연감소분이 생겼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리조트의 경우 시즌권 회원들이 일반 고객보다 많아 다른 스키장보다 피해가 덜 컸다”고 말했다.

최근 5년간 이용객 수 3,4위를 달리고 있는 휘닉스파크와 용평리조트도 이용객 숫자가 각각 10%, 5% 감소했다.

2012년 최고점 … 뚜렷한 하향세
위기의 스키장…사람이 왜 안올까?
해외여행‧온라인게임 등 레저 다변화

용평리조트 관계자는 “예년에 비해 5~10% 이용객 숫자가 빠졌다”며 “이상기온으로 인해 오픈이 늦어진 점이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2000년대 초반 가장 많은 이용객이 찾았던 무주덕유산리조트의 경우 05시즌 70여만명에서 15시즌 37만여명으로 10년 만에 이용객이 반 토막 났다. 올해도 마찬가지로 이용객이 줄어든 상황이다.

덕유산리조트 관계자는 “이번 시즌에는 지난해 메르스 여파가 있었다”며 “원래는 크리스마스 전후로 방학을 시작하는데 지난해엔 메르스로 인해 수업일수가 준 것이 방학기간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이어 “16시즌 초반에 유난히 날씨가 따뜻해 인공설을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가장 이상적인 온도는 영하 3도 이하, 습도는 70%인데 온도가 맞지 않았다”고 말했다.

인공설을 만드는 데 하루에 드는 비용은 많게 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온도가 중요한 이유는 인공설을 처음 깔 때 양질의 눈이 깔려야 오랫동안 유지가 되고 눈이 단단해지기 때문이다. 온도가 낮아지면 인공설 작업 시간을 지연시켜 결과적으로 개장 시간이 늦어진다. 이처럼 대부분의 스키장이 이상기온을 이용객 감소 원인으로 꼽았다.

한 스키리조트 관계자는 “스키장업계 자체가 성숙 단계를 넘어 쇠퇴기를 향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스키 및 골프 산업의 형태가 일본을 따라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용평리조트 관계자도 “이제는 스키시장이 더 이상 커지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스키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겨울철 여가로 스키가 대표적이었다. 요즘은 지갑 사정이 넉넉한 경우 해외 여행을 가고, 그렇지 않은 경우 온라인게임 등 기타 여가생활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처럼 시대 흐름이 변하면서 스키장 일변도의 겨울 레저에서 다른 영역으로 겨울 레저 문화가 변화되는 모습이다.

그 결과 2000년대 이후 비약적으로 성장한 스키시장이 이제는 사향길로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이밖에 2000년대 초반부터 이어진 스키장 산업의 호황에 편승해 사업을 벌인 일부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에 밀려 사라지기도 했다.

강원도 고성에 위치한 알프스리조트의 경우 10년 넘게 휴업 중이고, 서울리조트의 경우도 08시즌 이후 휴업 중에 있다. 태백시에 위치한 오투리조트는 총 4400억원이 투자돼 2009년 11월 스키장을 처음 열었지만 20분 거리에 위치한 하이원리조트와의 경쟁에서 밀려 지난 2014년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갔다.

이젠 사양산업?

스키장 이용객의 감소는 자연스레 스키용품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이마트는 15시즌 의류와 장비 일체를 포함한 스키용품 매출이 전년보다 20% 감소했고, 롯데마트도 같은 기간 18%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 마트 관계자는 “매장을 찾는 손님들이 몇 년 사이 계속 줄고 있다. 할인 행사를 진행하지만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말했다.

한 스키용품 대여업체 관계자는 “스키장을 찾는 사람들이 줄어들면서 스키 용품을 찾는 사람들도 뜸해졌다”고 말했다.

조원득 한국스키장경영협회 부장은 “경제적 여유가 있으면 해외 여행을 가고 그렇지 않을 경우 집에서 게임을 하는 등 젊은 층의 겨울철 소비 형태가 극단적으로 나뉘고 있다”며 “국내 이용객이 줄어들면서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홍보 활동을 벌이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고 있지 못한 상황”이라고 언론을 통해 밝혔다.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