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 고독사 실태

한국뉴스

독거노인 고독사 실태

일요시사 0 1386 0 0

가족 있어도 외로운 저승길

[일요시사=사회팀] 방송을 통해 일명 '맥도날드 할머니'로 알려진 권하자(73) 할머니가 숨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생전 권 할머니를 둘러싼 스포트라이트가 그의 죽음을 계기로 촉발된 상황. 하지만 어느 누구의 관심도 받지 못한 채 쓸쓸히 죽어가는 노인은 권 할머니뿐만이 아니다.


지난 10일 '맥도날드 할머니'로 유명세를 치렀던 권하자 할머니가 숨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서울 중구청 등에 따르면 권 할머니는 지난 7월12일 서울 송파구 거여동 새희망요양병원에서 숨졌다. 앞서 권 할머니는 지난 5월29일 서울역 노숙인 시설 앞에 쓰러져 있다가 발견돼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다가 새희망요양병원으로 이송됐다.

엘리트 노숙인

숨진 권 할머니는 서울 중구 정동의 한 맥도날드 매장에서 매일 밤을 보내 '맥도날드 할머니'란 별칭을 얻었다. SBS를 비롯한 방송매체들은 권 할머니의 기구한 사연을 꾸준히 조명했다.

이후 권 할머니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제 '맥도날드 할머니'란 말은 맞지 않는다"며 "1년 전쯤부터는 스타벅스에 주로 있었는데 24시간 하는 이 카페를 발견해서 주로 신세를 진다"고 자신의 근황을 밝히기도 했다.

권 할머니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불문과를 졸업한 뒤 1976년부터 1991년까지 외무부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 또 대학 재학 당시 '메이퀸'으로 뽑혔다는 내용이 방송을 통해 전해지기도 했다.

권 할머니는 다른 노숙인들과 달리 역이나 길이 아닌 맥도날드와 같은 패스트푸드점이나 커피숍에서 생활했다. 결혼을 하지 않아 자녀는 없었고, 친족들과도 왕래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권 할머니는 2000년대 초부터 노숙생활을 시작한 뒤 맥도날드에 자리를 잡았고, 서울 종로구 새문안교회로 예배를 다닌 것으로 알려졌다.

한 언론에 따르면 권 할머니는 영어 성경 교실에 참석했는데 이를 계기로 매일 새벽예배에 나갔다고 관계자들은 증언했다.

1940년생인 권 할머니는 그가 다섯 살 되던 해에 가족과 함께 서울로 올라왔다. 권 할머니의 아버지는 성공한 목재사업가였으며 집안 환경은 부유했다. 그러나 교우 관계는 좋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여러 인터뷰를 종합하면 권 할머니는 '온실 속의 화초'처럼 자랐다. 이 때문에 평생을 부모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부모가 세상을 떠난 뒤 권 할머니는 신앙생활에만 매진했으며 매일매일을 성경 읽기와 기도로 보냈다. 하지만 그의 혈육들은 권 할머니와 관계가 썩 좋지 못했는데 한 방송사는 교양프로그램을 통해 권 할머니의 '남달랐던 성격'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나 권 할머니는 외로움과 싸우며 한편으로는 가족을 그리워했다. 권 할머니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오빠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그는 "오빠네 식구들이 참 보고 싶다. 연락한 지 10년이 넘었는데 살아있으면 언젠가 꼭 만나게 해달라고 기도한다"고 말했다.

또 몇몇 방송에서 "만나고 싶지 않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밝힌 여동생에게도 "시집가기 전날 나랑 붙들고 울면서 헤어졌는데 동생은 나에게 왜 그렇게 섭섭한 게 많았을까"라고 말했다.

결국 권 할머니에게 제일 필요했던 것은 주위의 관심어린 애정이었다. 그는 가장 보고 싶은 사람을 묻는 질문에 대해 "어머니가 가장 그립다"며 "어머니를 대신해 나를 구원해줄 사람을 기다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권 할머니는 세상이 본인을 노숙자 취급하는 것을 경멸했다. 서울시와 구세군이 권 할머니를 돕겠다고 몇 번이나 요청했지만 권 할머니는 끝내 도움을 거절했다. 방송이 나가고 권 할머니의 동창생, 옛 외무부 동료들, 연락이 끊겼던 지인까지 구조에 나섰지만 권 할머니는 "내 방식대로 살겠다"며 도움을 거부했다.

대신 권 할머니는 카페에서 책과 영자신문을 읽고 커피를 주문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커피 한 잔만으로 끼니를 때웠던 권 할머니의 건강은 날이 갈수록 악화됐다.

'맥도날드 할머니' 사망…가족은 연락 끊겨
지난해 무연고 사망자 810명 "매년 증가"

권 할머니는 결국 쓰러져 국립중앙의료원에 입원했다. 하지만 입원 뒤에도 "내가 기다리는 사람이 나를 잘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며 머리를 자르지 않았다. 권 할머니는 병원에서도 트레이드마크인 백발을 단정하게 넘기고 다녔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권 할머니의 강인한 정신력도 암세포의 전이는 끝내 막지 못했다. 권 할머니는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병상에서 쓸쓸히 숨을 거뒀다.

관련 절차에 따라 관계 당국은 권 할머니의 가족에게 시신 인수 의향을 물었다. 하지만 가족들은 인수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 무연고자로 처리된 권 할머니는 화장된 후 서울시립 용미리 무연고 추모의 집에 안치됐다. 안치 기간은 10년이며 이후에도 가족들이 인수 의사를 밝히지 않을 경우 권 할머니의 유골은 다른 무연고자와 함께 매장된다.

쓸쓸한 죽음

권 할머니의 기구한 사연을 접한 많은 사람들은 이번 죽음을 계기로 우리 사회가 무연고 사망자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경기개발연구원이 조사하고 지난 9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무연고 사망자는 해마다 100명 가까이 늘어나는 추세다.

전국 무연고 사망자는 2010년 647명에서 2012년 810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1인 가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무연고 고독사도 자연스레 증가하고 있는 것. 통계청의 ‘2010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10년 기준 1인 가구는 모두 414만 가구였다. 이는 2000년에 집계된 222만 가구보다 86% 정도 증가한 수치다.

지난달 경기개발연구원은 자체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무연고 사회의 가장 큰 원인으로 '경쟁으로 인한 개인주의'를 꼽았고 이중 '고독사'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강현석 기자<angeli@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