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지가 부른 ‘소격동’ 가보니…

한국뉴스

<르포> 서태지가 부른 ‘소격동’ 가보니…

일요시사 0 941 0 0
▲ 옛 기무사 본부 건물. 현재는 미술관으로 쓰이고 있다.

노랫말이 동화 같다고? 사실 무서운 동네였다!

[일요시사 사회팀] 이광호 기자 = 가수 서태지가 정규 9집 앨범 ‘콰이어트 나이트(Quiet Night)’의 수록곡 ‘소격동’으로 각종 음원차트 1위를 기록하면서 가요계에 새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일렉트로닉한 몽환적인 음색이 묘한 매력을 발산한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서태지는 소격동에 대해 “내가 자라온 정말 예쁜 한옥 마을로 나의 마을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을 아름답게 그린 노래”라고 말했지만, 대중들은 소격동의 진짜 메시지에 집중하고 있다. 소격동의 현재와 과거를 짚어봤다.

“소격동을 기억하나요, 지금도 그대로 있죠.” 서태지의 노랫말을 따라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소격동을 찾았다.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 인근 풍문여자고등학교 정문에서부터 시작되는 이 동네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출사(출장사진)’ 나온 사진작가, 커플, 외국인관광객들은 연신 셔터를 누르느라 여념이 없었다. 이곳이 인기인 이유는 골목골목에 묻어나는 세월의 흔적에 있다. 고스란히 남아 있는 한옥이 대표적이다.

방문객 늘어

그러나 지금의 소격동은 특별한 것 같으면서도 특별하지 않은 동네가 돼버렸다. 곳곳에 입점한 프랜차이즈 음식점, 유럽풍 카페, 알록달록한 소품 가게, 갤러리만 즐비하다. 2000년대 초반부터 서서히 관광지로 변모했다.

소격동의 한 음식점 관계자는 “장사가 잘 돼서 좋긴 하지만 예전의 느낌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며 과거를 회상하기도 했다. 사실 소격동은 삼청동이라고 착각할 정도로 그 경계가 모호하다. 삼청동은 알고 있어도 소격동을 모르는 경우가 많은 이유다. 이번에 서태지의 ‘소격동’을 듣고 소격동을 처음 알았다는 이들이 적지 않다.

소격동 길을 쭉 올라가 삼청파출소에서 경복궁 방향으로 내려오다 보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이 나온다. 지난해 11월 개관한 미술관은 과천 본관, 덕수궁관에 이어 세 번째로 설립됐다. 국립민속박물관 맞은편의 옛 국군기무사령부(전 국군보안사령부) 일대에 지하 3층, 지상 3층 규모로 자리 잡고 있다. 기무사는 2008년 11월에 경기도 과천시로 이전했지만, 소격동 기무사 건물은 여전히 남아있다. 옛 기무사 본부의 건물을 해체하지 않고 중심 건물로 삼은 것이다. 이 건물은 1913년 일본군 수도육군병원으로 지어졌다.

 
사실 소격동은 서태지 멜로디처럼 동화 같은 장소가 아니다. 1980년대 군사정권 시절의 가슴 아픈 역사가 있는 이름이다. 흔히 대한민국 최고 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을 ‘내곡동’이라고 부른다. 군의 핵심 첩보기관인 기무사는 한때 ‘소격동’으로 불렸다. 기무사가 과천시로 이전하면서 ‘소격동 시대’는 막을 내렸지만, 소격동 주민들은 그때 그시절을 기억하고 있다.

5공 시절 역사적 아픔 고스란히 남아
‘공포’ 옛 기무사 자리에 독재의 추억

서태지 ‘소격동’ 뮤직비디오에는 남녀 두 학생이 함께 계단에 쪼그려 앉아 라디오를 듣는 장면이 나온다. 이때 지지직거리는 라디오에서 뉴스 앵커가 ‘녹화사업’에 대해 설명한다. 전두환 정권이 추진한 녹화사업은 강제 징집된 대학생들에 대한 정훈교육 계획으로, 81∼83년 사이 시행됐다.

당시 학생운동에 대한 탄압과 관제 프락치 활동을 통한 정보 수집을 위한 당국의 조치였다. 강제징집과 군복무 중 ‘특별정훈교육’이란 이름으로 이루어진 육체·정신적 폭력이 수반된 정식교육 등을 가리킨다. 박정희 정권 때에도 녹화사업은 있었으나 단순 입대에 그쳤다. 반면 전두환 정권은 강제 입대시키고 ‘좌경오염 방지’라는 미명 아래 순화교육을 시키고 이들 군인 중에서 대학생들을 자기 출신 학교에 있는 총학생회나 운동권 친구를 찾아가 정보를 수집해 오게 하는 프락치로 활용했다.

‘소격동’에는 이런 가사가 나온다. “소소한 하루가 넉넉했던 날, 그러던 어느 날 세상이 뒤집혔죠. 다들 꼭 잡아요. 잠깐 사이에 사라지죠.” 녹화사업 시행과정에서 6명이 군 복무 중 의문사 했다. 녹화사업 피해자들 중에는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자살하거나 타살당한 사람들이 상당히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녹화사업은 노태우 정권 때까지 존재했다. 당시 이를 주도하던 국군보안사령부(현 국군기무사령부)는 민간인 사찰과 간첩을 만들어내는 이른바 ‘제작부서’로 불렸다. 녹화사업의 행동대장이기도 했다.

 군 과거사 진상규명위원회는 2005년 8월, 1980년대 초 신군부의 집권 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사건 등을 ‘우선 진상규명’ 대상으로 정하고 1차 조사를 마친 뒤 같은 해 12월, ‘강제징집 및 녹화사업’에 대한 중간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녹화사업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드러났고, 보안사에서 녹화사업 대상자 1121명의 명단을 작성한 사실을 밝혀냈다. 징집 인원은 1100여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국방부, 내무부, 보안사, 문교부 등 정부 부처들이 신군부의 지시를 따라 녹화사업에 유기적이고 조직적으로 협조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두환 시절에…

기무사는 1974년부터 2008년 11월18일까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격동 165번지에 있었다. 소격동 북쪽으로는 팔판동, 동쪽으로는 화동, 남쪽으로는 송현동·사간동, 서쪽으로는 삼청동과 접해 있다. 법정동인 소격동은 행정동인 삼청동 관할하에 있다. 소격이라는 지명은 조선시대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를 지내던 조선의 관청 소격서가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다는 점에 유래되었다.

기무사는 소격동 터의 절반을 오랫동안 차지해 왔다. 어른 키보다 훨씬 높은 기무사 회색빛 담벼락은 소격동 주민들에게 불편한 존재였다. 기무사는 1950년 10월 특무부대로 창설된 이후 방첩부대에 이어 보안사령부 시절 정권을 쥐락펴락했다. 기무사가 국정원에 예속돼 있는 측면이 있지만 정보력만큼은 국정원보다 우위에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 khlee@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