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지금…차남 전성시대 막후

한국뉴스


 

재계는 지금…차남 전성시대 막후

일요시사 0 1618 0 0
▲ 왼쪽부터 허영인 SPC그룹 회장, 김남정 동원그룹 부회장, 김정한 대성산업 사장

왕관 뺏긴 형님들…조용히 야인으로

[일요시사 취재1팀] 이광호 기자 = 장자승계 원칙이 점차 허물어지고 있다. 장남들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고 차남들이 경영 전면에 나서는 모습이 관측된다. 그룹 내 실세로 부상한 차남, 3남들 때문에 뒤로 밀려난 장남들의 비운의 그림자를 짚어봤다.

삼성, 현대차, LG, 롯데 등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의 평균 연령이 70세를 넘어서면서 각 기업의 상속과 경영권 승계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 경영권 승계에서 장남이 우위를 점한다. 이를 장자승계원칙이라 일컫는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 구광모 LG상무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 장남이 아님에도 경영 수완을 발휘해 경영 전면에 나서는 차남, 3남 회장들이 적지 않아 눈길을 끈다.

점차 무너지는
장자승계 원칙

글로벌 기업인 삼성도 장자승계원칙을 깬 기업 중 하나다. 현재 와병 중인 이건희 회장도 형을 제치고 그룹 경영권을 이어받았다. 삼성은 고 이병철 창업주가 경영권을 3남인 이건희 회장에게 승계하면서 내홍을 겪은 바 있다. 이후 장남 이맹희 회장은 CJ, 차남 고 이창희 회장은 세한미디어, 장녀 이인회 회장은 한솔, 막내딸 이명희 회장은 신세계 등 각자의 길로 갈라섰다. 분할 이후 삼성전자는 독보적인 위치에 올랐다. 이 과정에서 이건희 회장은 지난 2012년 큰형 이맹희 회장과 송사에 휘말리기도 했다.

본격적인 차남 경영 시대의 막을 올린 이는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이다. 고 서성환 창업주의 차남 서경배 회장은 아모레퍼시픽의 전신인 태평양화학에 입사 후 태평양제약 사장과 태평양 기획조정실 등을 거치면서 부친으로부터 경영 능력을 인정받았다. 그러면서 형인 서영배 태평양개발 회장을 제치고 그룹 경영권을 잡았다. 서 회장은 경영권을 물려받은 뒤 새로운 브랜드를 선보이며 회사 실적을 높였다. 아모레퍼시픽의 지난해 매출액은 4조원을 넘어섰다. 중국시장을 개척해 4000억원이던 회사를 10배 이상 키웠다. 반면 장남 서 회장은 건설 계열사 일부만을 물려받았다.

하이트진로그룹 박문덕 회장도 비슷한 경우다. 형인 박문효 하이트진로산업 회장이 하이트진로(당시 조선맥주) 대표이사 자리에 오르며 유력한 후계자로 부상하는 듯했지만 동생인 박 회장이 아버지인 고 박경복 회장의 지분을 물려받으면서 후계구도가 바뀌었다.

식품업계에서는 삼립식품 창업주인 고 허창성 회장의 차남 허영인 SPC그룹 회장을 꼽을 수 있다. 장남 허영선씨는 부친으로부터 삼립식품을 물려받았지만 리조트 사업 투자 실패로 1997년 부도를 맞았다. 반면 차남 허영인 회장은 삼립식품의 자회사였던 샤니를 대규모 유통체인 업체 SPC그룹으로 성장시키면서 2002년에는 형의 회사였던 삼립식품까지 인수했다.

장자승계 원칙 옛말…능력 위주 선발
금수저 물었어도 능력 없으면 ‘아웃’

한라그룹도 차남에게 경영권을 물려줬다. 고 정인영 창업주는 장남 정몽국씨를 1989년 부회장에 임명하며 한라중공업, 한라시멘트, 한라레미콘 등 주요 계열사의 경영을 맡겼다. 하지만 95년 차남 정몽원 한라그룹 회장에게 총괄경영권을 쥐어주고 정몽국씨를 미국 지사장으로 내보냈다. 후계 갈등 때문에 한때 정몽국씨가 동생을 상대로 한라시멘트 등 주식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하며 형제간 다툼 양상을 벌였지만, 2009년 정몽국씨가 본인 소유의 한라건설 지분을 처분하면서 일단락됐다.

동원그룹은 기업 모체를 차남이 차지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차남 승계와 달라 눈길을 끌었다. 동원그룹은 금융은 장남, 식품은 차남이 가지는 방식으로 후계 작업을 완료했다. 김재철 동원그룹 회장의 장남 김남구 한국금융지주 부회장은 일찌감치 금융 사업을 맡아 2003년 동원금융지주 사장으로 부임했다. 이후 그룹에서 분리해 한국투자증권을 인수하고 한국금융지주를 맡고 있다. 차남 김남정 부회장은 2004년 부친으로부터 지분 증여를 통해 식품 사업을 물려받았다. 이후 2013년에는 동원그룹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장자승계원칙이 지켜지지 않을 조짐이 보이는 기업은 롯데그룹이다. 당초 한국 롯데는 차남 신동빈 회장이, 일본 롯데는 장남 신동주 전 부회장이 맡는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신동주 전 부회장의 일본 롯데 퇴출로 신 회장으로의 경영권 승계가 확정된 분위기다.

형보다 나은
‘아우 회장님’

신동주 전 부회장은 지난 1월 일본롯데 계열사 세 곳에 이어 일본 롯데그룹의 지주회사 격인 롯데홀딩스에서 해임됐다. 한국롯데 계열사 등기임원에서도 밀려나고 있다. 지난해 말 롯데상사 이사직에서 물러난 신 전 부회장은 지난 2월 롯데건설 주주총회에서 등기임원으로 재선임 되지 않았다. 롯데리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박문덕 하이트진로 회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신동주 전 롯데그룹 부회장    

신동주 전 부회장은 호텔롯데, 부산롯데호텔, 롯데알미늄 등 주요 계열사의 등기임원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불안한 상태다. 롯데알미늄은 2월 주주총회에서 신동주 전 부회장 재선임 안건을 다루지 않았다. 호텔롯데, 부산롯데호텔 임원직 유지 여부도 안갯속이다. 반면 신동빈 회장은 3월 호텔롯데와 부산롯데호텔 등기임원으로 이름을 올리면서 그룹 내 장악력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롯데 지배구조의 최정점에 있는 호텔롯데는 일본롯데 측이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다.

신동빈 회장은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경영권 입지를 다지고 있다. 최근 신동빈 회장은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권 입찰과 KT렌탈 인수전에서 과감한 승부수를 띄우기도 했다. 또 존 필립 키 뉴질랜드 총리와 만나 뉴질랜드 수출확대 방안을 논의하는 등 그룹 경영전반에 강한 인상을 남기고 있다.

신동빈 회장의 그룹 내 영향력을 가늠케 할 분수령은 오는 6월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신동주 전 부회장의 롯데알미늄 등기이사직이 만료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때 재선임에 실패한다면 차남 후계구도는 더욱 명확해진다.

대성산업 역시 후계구도가 장남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영대 대성산업 회장의 장남 김정한 사장이 최근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면서 3남인 김신한 사장에게 경영권이 쥐어지는 모양새다. 김정한 사장은 자신이 대표이사직을 맡아온 임플란트 업체 라파바이오 경영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한 사장의 이번 사임과 관련해 재계에서는 대성산업이 지난해부터 추진해왔던 재무구조 개선 작업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감에 따라 후계구도를 조기에 굳히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형보다 잘나가는 아우들
차남·3남 경영수업 매진

3남 김신한 사장은 2013년 초 김정한 사장보다 먼저 등기임원으로 선임된 후 대성산업의 건설·유통사업부문을 맡아 자산매각과 재무구조 개선작업을 주도해왔다. 김신한 사장은 지난해 11월 대성산업 등기임원에서 물러난 후 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대성산업가스 사장을 맡고 있다. 김신한 사장의 대성산업 지분율은 0.07%로 부친 김영대 회장(0.32%)에 이어 개인 주주 가운데는 두 번째로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대성산업의 지주회사인 대성합동지주 지분은 0.48%를 보유하고 있어 0.39%를 보유하고 있는 김정한 사장보다 높다.

김영대 회장의 차남 김인한씨는 기업 경영에 참여하지 않고 미국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성산업의 모태인 대성그룹은 2001년 창업주인 고 김수근 회장이 별세한 후 그룹이 분리돼 장남인 김영대 회장이 대성산업을 기반으로 대성합동지주를 경영하고 있다. 차남 김영민 회장은 서울도시가스를, 3남인 김영훈 회장은 대구도시가스를 기반으로 대성홀딩스를 각각 운영하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아직 후계구도가 정확히 나오지 않고 있지만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조양래 한국타이어 회장의 장남은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사장이다. 차남 조현범은 한국타이어 사장이다. 그룹을 지배하는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지분율은 각각 19.32%와 19.31%로 거의 비슷하다. 그런데 타이어 외에 다른 사업이 없던 한국타이어가 세계 2위 자동차용 에어컨·히터 기업인 한라비스테온공조에 이어 국내 1위 렌터카 회사인 KT렌탈 인수전에 뛰어들자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사업 다각화를 위한 인수합병이라고 하지만 장남과 차남 간 후계 구도와 관련이 없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복잡한 지분 관계를 정리하는 수순으로 보고 있다.

다음 후계구도에
쏠리는 세간의 눈

효성그룹 장남도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의 차남 조현문 변호사가 떠난 뒤 장남 조현준 사장이 경영권을 물려받는 시나리오에 무게가 실렸지만 아직 확정된 건 아니다. 3남 조현상 부사장이 끊임없이 지분을 인수하고 있어서다. 현재 장남과 3남이 보유한 효성의 지분은 각각 10.87%와 10.47%로 엇비슷하다.

시대가 변하면서 무조건적인 장남 우선주의 보다는 경영 능력을 중심으로 후계자를 세우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이 현재 재계 3~4세들에게 주는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다. 금수저를 물고 태어났다고 해서 마냥 안심하고 있을 수 없단 얘기다. 자칫 방심하다간 동생들에게 왕관을 넘겨줘야할 수도 있다.

<khlee@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