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남편의 전업주부 가능성은?

한국뉴스


 

내 남편의 전업주부 가능성은?

일요시사 0 2421 0 0

젊은남편 69%, "아내 경제력 있다면 전업주부 가능"

최근 육아 휴직 또는 전업주부의 꿈을 꾸고 있는 남성들이 꽤 있을 것 같다. 가장들의 축처진 어깨와 쓸쓸한 뒷모습이 이를 대변한다. 실제 20·30대 젊은남편 10명 중 7명은 아내가 경제력이 있다면 '전업주부'로 생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주부'로 전향했을 때 아내의 한 달 수입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한다면 전업주부로 생활하는 것에 대해 부담감이 없다는 것. 이와 관련 남편들이 원하는 아내의 한 달 수입은 360만원인 것으로 조사돼 눈길을 끈다. 내 남편의 전업주부 가능성에 대해 알아봤다.

<사진은 영화의 한장면>
전업주부 남편이 원하는 아내 한달 수입은 360만원
경제력만 있다면 애 키우고 집안 살림에 전념할 것

외국에서는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에 동참하는 남성의 수가 점점 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이 같은 남성의 수가 여성의 수와 비슷해졌다는 기사도 나왔다.

하지만 사실 경제력을 상실한 남성들이 자진해서 가사나 육아의 부담을 받아들이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여성들 또한 일하는 배우자 덕분에 누렸던 안정된 생활을 스스로 포기하고 일터로 향하기는 쉽지 않을 터.

"울 아빠가 살림해요"

그래서 인지 만약 아내가 한 달에 360만원을 벌어온다면 직장을 그만두고 아이를 키우면서 집안 살림에 전념하겠다는 남성들이 상당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남편 10명 가운데 7명이 아내가 경제력이 있다면 '전업주부'로 생활해도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된 것.

최근 한 언론매체에서 가정의 달을 맞아 서울과 전국 6개 광역시 20·30대 기혼 남녀 500명(남녀 각각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아내가 경제력이 있다면 남편이 전업주부를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69%의 남성이 '그렇다'고 응답했다. 반면 '아니다'고 답한 비율은 24%로 긍정적 의견의 3분의 1에 불과했다.

여성의 경우, 46%가 '그렇다'고 답해 44%의 '아니다'는 의견을 다소 웃돌았다. 남편이 전업주부를 해도 괜찮다는 아내가 2%p 더 높게 집계된 것.

그런가 하면 남편 전업주부로 돌아섰을 때 희망하는 아내의 월급은 평균 360만원인 것으로 조사돼 관심을 끌었다. 2008년 통계청이 발표한 4인 가족 기준 도시 근로자 평균 임금이 한 달 약 370만원인 점을 반영했을 때 큰 차이가 나는 금액은 아니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한 달 407만원은 벌어야 남편이 전업주부를 할 수 있다고 응답해 전업주부 남편이 되기 위한 희망 임금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보험계통에 종사하는 조모(38)씨는 “최근 남성 전업주부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면서 “보험이라는 게 영업이다 보니 매달 월급이 일정치 않아 맞벌이 하는 아내에게 미안하다. 아이는 점점 자라는데 내가 집에 들어앉아 아내의 사회생활을 위해 내조를 하는 것이 나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고 말했다.

해당 매체에 따르면 실제 집안일에 전념하는 남성 전업주부가 최근 5년 동안 35% 급증했다. 지난해 기준 남자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활동 상태가 '가사'인 경우가 15만6000명에 달한 것.

이와 관련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여성의 사회 진출에 따라 고소득·전문직 여성이 늘고 남성 전업주부도 증가하고 있다"면서 "사회생활과 가사에 대한 기존 성별 인식이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라고 설명했다.

그런가 하면 설문을 실시한 매체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가정 내에서 여성 파워가 더욱 커지는 '신모계사회'가 도래했다고 평가했다. 가정내 주도권은 물론 집안 모임 역시 아내와 처가(친정) 위주로 이뤄진고 있다는 것.

실제 '가정 내 주도권(경제권)을 누가 갖고 있느냐"는 질문에 '아내가 갖고 있다'는 응답이 42%로 28%의 선택을 받은 '남편'보다 높았다. 이어 '자녀가 부모 중 누구 말을 더 잘 듣는가'라는 질문에도 아내가 48%로 30%의 남편보다 앞섰다.

집안모임도 마찬가지다. '처가(친정) 위주'의 집안 모임이 이뤄진다는 응답이 33%로 나타났고, '본가(시댁) 위주'는 30%로 집계돼 엇비슷하지만 차이를 보였다. 방문 빈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본가(시댁)에 자주 간다는 응답은 30%인 반면 처가(친정)에 더 자주 간다는 응답은 45%로 집계된 것.

마지막으로 '가족의 생계에 대한 남성의 책임'에 대해 묻자, 남성의 48%, 여성의 75%가 '남편의 책임이 아니다'고 응답했다. 이어 '가사·육아는 여성 책임'이라는 항목에 대해서도 남편 66%, 여성 7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신모계사회 도래?

눈길을 끄는 것은 이러한 부모의 가치관과 세태의 변화는 자녀에게도 고스란히 전달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우리나라 청소년은 친가보다 외가 친척을 더 가깝게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으로 볼 수 있는 대상'에 대해 '이모(83.4%)'와 '외삼촌(81.9%)'이 나란히 1, 2위를 차지한 가운데 친가쪽 친인척인 '고모(81.7%)'와 '큰아버지·작은아버지(79.8%)'는 각각 세번째와 네번째를 기록한 것.

이와 관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측은 "우리사회의 가족관이 전통적인 부계·혈연 중심에서 모계·생활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 된다"고 설명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