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영·이병철 자금 대준 기업은?

한국뉴스

정주영·이병철 자금 대준 기업은?

일요시사 0 1300 0 0
 ▲ 해성산업 소유인 한국제지

삼성? 현대? 진짜 재벌은 따로 있다

[일요시사 취재1팀] 이광호 기자 = 부동산 관리회사인 해성산업은 재계에서 알짜배기 회사로 통한다. 해성산업이 강남에 보유한 건물가치만 1조원을 웃돈다. 단재완 해성산업 회장의 아버지 고 단사천 회장은 1950∼60년대 명동 사채업계를 주름잡았던 인물로 현대 창업주 정주영 회장과 삼성 창업주 이병철 회장에게 자금을 빌려줄 정도로 뛰어난 자금동원력을 자랑했다. 해성산업은 규모는 작지만 해성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며 결코 가볍지 않은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해성그룹은 부동산 관리회사인 해성산업, 복사지 ‘밀크(Miilk)’로 유명한 종이 전문업체 한국제지, 전동공구 및 자동차DC모터 제조 전문기업 계양전기, 종이포장 업체 한국팩키지, 스크류콘베어 및 척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우영엔지니어링, 첨단 화학 신소재 업체 오미아한국케미칼, 지난해 4월 인수한 반도체 부품업체 해성디에스 등의 계열사를 갖고 있다. 전체 매출액은 약 1조3000억원 규모로 이 가운데 한국제지가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여기에 해성학원과 해성문화재단을 설립해 교육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사채로 빌딩 사들여

최근 한국제지는 국일제지 중국공장을 320억원에 인수해 특수지 시장에 진출, 복사지 브랜드를 런칭하고 국내복사지 시장 1위를 탈환했다. 계양전기는 스마트 그린카 전동화 핵심부품 기술 개발과 전기차 2단 변속기를 개발 중이다. 지난해 삼성테크원에서 분사한 반도체 부품 제조회사 해성디에스는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코스피 또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해성그룹 자회사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이중 해성산업은 매출액 100억원대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지만 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다. 해성산업이 해성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부동산 때문이다. 해성산업은 서울시청 앞에 있는 해남빌딩과 주상복합건물 신축지, 강남대로 송남빌딩, 부산역 앞 송남빌딩, 남대문 수상빌딩, 동해식품공장 등 전국 요지에 빌딩을 보유하고 있다.

실적에서 수익이 나오는 구조는 아니지만 소유하고 있는 다수의 토지와 빌딩에서 나오는 임대료와 시설관리비 등의 현금 수익이 크다는 점에서 우량한 재무구조를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부채비율은 9.7%에 불과하다. 해성산업은 그룹의 현금창고 역할을 하고 있다.

1954년 설립된 해성산업은 앞서 설명한 빌딩 등 건물의 시설관리용역사업을 수행하며 일부 상가에 대해 임대사업을 하고 있다. 62년 해남빌딩 본관을 준공하면서 오피스빌딩 임대사업을 시작했다. 65년에는 화양간설을 합병했으며 66년 해남빌딩 신관을 준공했다.

78년 동해식품공장을 인수하고 80년 송남빌딩, 84년 부산송남딜딩 등을 준공, 88년 수상빌딩을 인수했다. 90년대 들어서 시설관리용역사업에 진출해 92년 성수빌딩, 95년 해성2빌딩 등의 시설관리용역을 시작했다. 98년 우영테크노센터를 건립해 분양사업을 했다. 99년에 비로소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했다.

숨은 재벌 해성산업 슬슬 존재감 드러내
한때 재벌 총수들도 손 벌렸던 ‘현금왕’
서울 주요 상권에 수조원대 부동산 보유

해성산업은 주식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 강남을 비롯한 서울 주요 상권에 수조원대에 달하는 부동산을 보유한 대표적인 자산주로 꼽힌다. 현재 해성산업 단재완 회장이 가진 부동산들은 대부분 선친 고 단사천 회장이 일궈낸 결과물이다. 단사천 회장은 1960년대부터 80년대까지 명동 사채업계를 주름잡았던 인물로 재계 총수들에게도 돈을 빌려줬다고 전해진다. 해성산업은 하루에 수천억원의 현금을 움직일 정도로 자금동원력이 대단했다. 사채업자들 사이에서는 ‘현금왕’으로 통했다.

단사천 회장과 현대 창업주 정주영 회장의 관계에 대한 에피소드는 꽤 유명하다. 정주영 회장은 단사천 회장이 연락을 하면 자신도 모르게 벌떡 일어나 전화를 받았다는 것이다. 당시 정 회장은 대규모 사업을 펼치면서 돈이 마를 때마다 은행에서 돈을 다 빌리지 못해 골머리를 앓았다고 한다. 이럴 때마다 정 회장은 단 회장에게 SOS를 날려 위기상황을 벗어났다는 것이다.

삼성 창업주 이병철 회장도 마찬가지였다. 사업 확장으로 돈줄이 막힐 때면 단 회장의 도움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단 회장의 막강한 자금력 때문에 당시 재계와 명동 사채시장에서는 ‘그가 부르면 기업 총수들도 두말하지 않고 달려온다’ ‘마음만 먹으면 재벌 몇 정도는 금방 날려버릴 수 있다’는 등 소문이 떠돌기도 했다.


 


이 같은 단 회장의 존재감은 당시 은행 등 금융시장의 자금조달 능력이 기업의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사실상 해성산업이 1금융권 역할을 했던 것이다. 현금에 목말라 있던 기업들에게 단 회장은 오아시스 같은 존재였다. 일부에서는 그를 ‘재계의 전당포’라고 부르기도 했다. 단 회장은 명동 사채업계에서 ‘전주’로 군림하며 큰 규모의 현금을 손쉽게 조달했다고 전해진다.

단 회장은 자신이 다 조달하지 못하는 규모의 자금이 필요할 때면 사채업자들까지 동원해 자금을 만들어 빌려줬다. 60년대 중반 단 회장이 한 번에 빌려줄 수 있는 자금의 규모는 약 60억원대 정도였다고 한다. 당시 삼성그룹의 연간 영업이익 규모가 약 190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단 하루에 삼성그룹 연간 이익의 3분의 1이 넘는 자금을 빌려준 것이다. 80년대 국내 경제규모가 팽창하면서 단 회장의 현금동원 능력도 커져 자금의 규모가 약 3000억원에 달했다고 한다.

단 회장은 황해도 서흥 출신으로 무일푼으로 서울에 내려온 이후 모은 돈으로 일만상회라는 재봉틀 조립회사를 열어 돈을 벌었다. 50년대 이후부터는 명동을 무대로 사채를 통해 자금을 굴렸다. 돈을 높은 이자에 빌려주고 받는 식으로 재산을 축척한 것이다. 그는 이렇게 모은 돈으로 전국 노른자 땅을 사들이며 재산을 불렸다.

부동산 재벌로 우뚝

단 회장은 82년 단자회사(종합금융사) 설립이 자유화되자 같은 북한 출신 기업인인 김종호 세창물산 회장, 남상옥 타위호텔 회장 등과 손잡고 신한투자금융 설립에 참여했다. 그러나 공동 설립자 간의 경영 분쟁과 정부의 경영 개입 등으로 결국 지분을 털고 나왔다. 이때부터 단 회장은 사금융에서 발을 빼 지난 2001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해성산업과 한국제지, 계양전기, 한국팩키지 등의 회사를 경영하며 재산 모으기에 집중했다. 단 회장이 일궈낸 재산은 그의 외아들인 해성산업 단재완 회장 손에 있다.

<khlee@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해성그룹 경영구도

지난달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단재완 회장의 장남인 단우영 한국제지 부사장은 해성산업 2대주주(15.70%)이자 한국제지의 3대주주(4.72%)다. 한국제지 2대 주주는 단 부사장의 동생인 단우준 계양전기 전무다. 단 부사장은 이외에도 계양전기(1.89%), 한국팩키지(6.0%) 등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단 부사장이 보유한 지분가치는 573억원(12일 종가기준) 수준이다. 그는 지난해 배당금으로만 2억8600만원을 가져갔다.

단 부사장은 지배구조 최상위인 해성산업을 통해 그룹 지배력을 일정부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단 회장이 해성산업의 지분 30.13%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이 지분의 향방에 따라 경영권 승계 여부가 최종 결정될 전망이다.

한국제지의 기획총괄업무를 맡고 있는 단 부사장은 2011년 복사지 ‘밀크(Miilk)’가 성공을 거두는 등 경영에서도 합격점을 받고 있다. 단 부사장과 단 전무는 2010년부터 경영에 참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등기임원에 오르지는 못한 상태다. <광>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