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홈플러스 사연

한국뉴스


 

불안한 홈플러스 사연

일요시사 0 999 0 0

본전 생각에…칼바람 부나

[일요시사 경제팀] 양동주 기자 = 대형 M&A 계약으로 화제를 모았던 홈플러스가 새 대표 선임을 통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MBK파트너스를 주인으로 맞이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수장 교체가 이뤄지자 홈플러스의 행보에 궁금증이 증폭되는 상황이다. 체질 개선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꾸준히 제기된다.

7조2000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에 홈플러스를 사들인 MBK파트너스가 깜짝 카드를 꺼내 들었다. 최고경영자 교체를 단행한 것이다. P&G 아세안 총괄 사장을 지냈던 김상현 신임 대표는 산적한 홈플러스의 골칫거리를 해소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짊어지게 됐다. 무엇보다 소문으로 떠돌던 홈플러스 분할매각 계획이 조금씩 수면위로 부각될지 관심거리다.

깜짝카드 왜?

1997년 대구 1호점으로 국내 유통업계에 진출한 홈플러스는 지난해 9월 MBK파트너스를 새 주인으로 맞이했다. MBK파트너스가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 지분 100%를 5조8000억원에 사들이고 차입금 1조4000억원을 떠안는 방식이었다.

지난 2014년 매출 8조5682억원, 영업이익 2409억원을 기록한 홈플러스는 전국에 대형마트 141개, 기업형슈퍼마켓(SSM)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375개, 물류센터 8개 등을 보유하고 있다. 자산은 총 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M&A 역사상 최대 규모였던 홈플러스 인수가 완료되자마자 업계에서는 MBK파트너스의 추가 행보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일단 시기를 봐서 재매각에 나설 수 있다는 견해가 팽배하다. 이 시점에서 MBK파트너스 김 신임 대표를 선임했다. 3년 간 홈플러스를 이끌었던 도성환 대표는 경영에서 물러나 그동안 겸직해왔던 홈플러스 사회공헌재단 이사장 업무를 수행한다.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정치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김 대표는 1986년 P&G에 입사 후 마케팅 전문가로 요직을 거쳐 왔다. 업계에서는 그의 능력에 후한 점주를 주고 있다. 2008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있던 P&G 아세안 사업을 맡은 후 사업을 재정비해 4년 만에 매출을 2배로 성장시키고 7년 재임기간 동안 매년 최대 매출기록을 세운 까닭이다. 특히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는 P&G 역사상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개발도상국 진출에 성공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MBK파트너스는 침체 된 국내 유통업계에서 홈플러스가 새로운 경영방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며 “글로벌 기업 P&G에서 경영성과를 내온 김 대표를 영입한 것은 MBK파트너스의 이런 생각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현호 출범…대표 교체 단행한 MBK 
대규모 구조조정?…분할 매각 소문도

김 대표의 취임은 단순한 수장 교체가 아니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김 대표가 홈플러스 구조조정을 진두지휘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일단 홈플러스의 대내외적 상황이 그리 녹록지 않다는 점에서 힘이 실린다.

최근 홈플러스는 유통의 중심이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4년에 매출 8조5682억원, 영업이익 2409억원을 달성했지만 전년대비 매출은 4%, 영업이익은 28.8%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5684억원을 기록한 2011년 이래 매년 줄어들고 있으며 2011년 6.4%였던 영업이익률은 2014년에 2.8%까지 떨어졌다.

 


▲ 김상현 홈플러스 사장

MBK파트너스가 신임 대표를 앞세워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 MBK파트너스가 보여준 일련의 행보 역시 이를 뒷받침한다. 그간 유통업계에서는 도 전 대표와 MBK파트너스 측이 갈등을 빚는다는 소문이 떠돌았다. 최근 있었던 홈플러스의 지배구조 변경과 등기이사 교체 등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홈플러스는 도 전 대표를 제외한 기존 등기임원들을 해임하고 그 자리를 MBK파트너스 측 인사들로 채운 바 있다. 이 무렵부터 대표 교체에 대한 이야기가 제대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MBK파트너스의 인사 단행은 홈플러스를 직접 운영하겠다는 뜻 이외에도 향후 매각을 통해 차익을 노릴 수 있다는 뜻을 포함한다”며 “만약 홈플러스 매각에 나선다면 향후 유통업계에 지각변동을 불러올 것”이라고 말했다.

MBK파트너스가 그동안 보여준 이력은 구조조정 가능성에 신빙성을 더한다. MBK파트너스는 씨앤앰을 인수하고 구조조정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자산 매각과정에서 협력업체 노동자들의 고용승계를 하지 않았던 전례가 있다. 2013년 ING생명 인수 과정에서도 직원 일부를 내며내며 잡음을 야기했다. 홈플러스 노조 측 역시 MBK파트너스의 인수 후 구조조정 및 재매각 행보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홈플러스 측은 아직까지 구조조정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마케팅 전문가인 만큼 김 대표를 중심으로 경쟁사들과 다른 마케팅을 들고 나올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며 “인위적인 인력 구조조정 계획은 딱히 없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김 대표를 바라보는 업계의 시선은 엇갈리고 있다. 그가 P&G에서 쌓아온 화려한 이력이 홈플러스에서 그대로 재현될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김 대표가 빠른 경영정상화와 매각을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사모펀드 MBK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있겠느냐는 물음표가 깔려있다. 체질개선을 근거로 홈플러스가 구조조정에 나설 수 있다는 의심을 거둬들이기 힘든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감원 신호탄?

한편 김 대표는 취임과 함께 혁신을 강조하고 나선 상황이다. 김 대표는 지난 4일 신년사를 통해 “오늘 날 유통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일하는 방식과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 등을 통해 홈플러스의 기반을 강화시킴으로써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유통업계 대세는?

경기 불황과 업계 간 경쟁 심화 분위기 속에서 유통업계가 PB(자체브랜드)상품 개발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대형 마트가 중소 제조업체에 의뢰해 만든 제품에 마트 상표를 붙여 판매하는 PB상품은 마케팅 비용이 절약돼 기존 브랜드 상품보다 가격이 저렴하다. 올해는 가성비 높은 제품들을 선호하는 소비경향이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PB상품 판매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유통업체는 진열상품의 약 30%를 PB상품으로 채우고 있으며 상품 종류도 한층 다양해졌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지나치게 높은 가격과 스펙보다 적정한 품질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며 “유통업체와 제조사 간 경계를 허물어지는 만큼 차별화된 PB상품이 대세로 떠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주>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